= 카테고리 전체 글 = 411

우리나라 명절과 24절기의 종류와 그 시기의 특징이 되는 음식

24절기 봄의절기 봄은 시작과 풍요, 부활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계절의 시작이며, 한해의 시작이고, 또한 농사 준비의 시작으로 까지 봄은 모든 만물(萬物)이 생명의 근원을 다시 얻어 소생(蘇生)하는 계절입니다. :: 입춘(立春, 양력2월4.5일) 입춘은 정월에 첫번째로 드는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오며 봄의 시작을 의미한다. 대궐(大闕)에서는 설날에 문신(文臣)들이 지어 올린 연상시(延祥詩:신년축시) 중에서 잘된 것을 선정하여 대궐의 기둥과 난간에다 입춘첩(立春帖)을 써붙였는데, 일반 민가와 상점에서도 모두 입춘첩을 붙이고 한 해의 복(福)을 기원했습니다. 입춘 음식은 햇나물 무침을 주로하여 탕평채,승검초(당귀의어린싹) 산적, 죽순 나물,죽순찜, 달래 나물, 달래장, 냉이 나물, 산갓 김치 등입니..

청산은 나를보고(나옹선사).....

'靑山兮要我 청산은 나를보고'                                                                                 - 나옹선사 (懶翁禪師, 1320-1376)  -                              靑山兮要我以無語[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蒼空兮要我以無垢[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

한국 불교사 연대표

한국불교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 가시면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300.htm상세히 보실 수 있고요.참고로 한국불교사 연표와 불교가 한국에 처음 전래된 고구려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불교역사를 올립니다. 이후 고려,조선, 근대, 현대는 위의 주소로 들어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모두 올려 드리지 못합니다. * 한국불교사 연표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김해의 유물 파사석탑에대한 허명철님의 글

질문이 좋아 인터넷 검색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 보았습니다.아래는 김해 금강병원 원장님으로 계시는 허명철의학박사님의 글입니다. 좋은 내용인 것같습니다. 오랜 연구로 내용상의 가치가 많은 것같습니다. 국내 사학자들이 최초 불교의 전래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봄직한 내용이라 생각되네요.산야를 무심코 걷다가 깨어진 석물이나 토기들을 대할 때가 있다. 이럴때마다 귀중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주워서 이리저리 관찰하며 나름대로 음미해 보곤 한다. 김해라는 옛 가야의 왕도에는 문화유산들이 많이 산재되어 있으며 도굴꾼이 하도 많다보니 여기저기 버려진 유물조각들이 많아 문화를 아끼는 한 사람으로 당연한 자세이리라 본다. 김해 구산동 구지봉 산자락에는 사적 제 74호인 가야 수로왕비인 허황옥의 무덤이 있다. 이 경내에는..

집착에서 벗어나는 법(수식관, 오정심관, 사념처)

집착에서 벗어나는 법불광법단 2003년 11월 통권 349호글· 광덕  a 사념처(四念處)라고 하는 것은 부처님께서 반야의 법문을 설하시기 이전에 설하신 것으로 출가하신 스님네들의 불교수행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초기의 법문입니다. 열반에 드실 무렵에도 제자들이 “어디에 머무오리까?” 하고 물었을 때 “사념처에 머물어라.”고 할 정도로 부처님께서 간절히 마음을 두셨던 법문입니다.사념처가 무엇인가 하면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으로 만져지는 이 현상 차별세계에 관한 법문입니다. 우리가 현실세계에 매달리고 집착해서 고(苦)를 취했기 때문에 그 고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 현실에 집착을 떼게 하기 위해서 설하신 현상에 대한 법문, 이것이 사념처고 오정심관(五停心觀)입니다.다섯 가지 허물을 막는 수행 ..

계정혜(戒·定·慧)를 닦아라

계정혜(戒·定·慧)를 닦아라  초기경전에 설해져 있는 불교의 수행 덕목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 모든 수행 덕목은 지계(持戒)와 선정(禪定)과 지혜(智慧)의 삼학(三學)에 귀속시킬 수 있다. 계학(戒學)이란 수행 방법 중에도 특히 정의적 습관적인 악덕을 교정하여 선한 덕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계(戒)라는 말에는 습성 습관의 의미가 있다. 즉 선이든 악이든, 습관적 행위를 모두 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측면은 파계(破戒, sila-vipatti, 毁戒)라든가 악계(惡戒, dussila)라고 부르고, 단지 계라고만 할 때에는 선한 습관적 행위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세속적 의미에서의 계란 도덕적 행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라(sila)는 영어의 moral이라든가 e..

육신통[六神通] 은 무엇이며, 증득 가능한가....

옛부터  도승들은 신통자재했다. 사람들의 전생도 알고, 천리 밖에 일도 알고, 사람들의 마음도 꿰뚫어 보고, 천리 밖의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신통을 부렸다. 그러나 불가에선 이러한 신통력을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해야지 함부로 사용하면 사마외도의 술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경계를 했다.    이러한 신통력은 도가  높은 데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부처님도 육신통으로 구제불능한 외도들을 굴복시키고 불법에 귀의시키는 방편으로 활용을 했다. 육신통[六神通]에 대하여 신통 즉 초능력도 수없이 많겠으나 크게 여섯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신족통[神足通], 천이통[天耳通], 타심통[他心通],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이다. 이 중에 누진통을 제외한 나머지 신통은 요가나 타종교 수행자들..

불교학결집대회, 내년불기 ‘2552년’ 아닌 ‘2551년’ 사용

불교학결집대회 ‘공용佛紀’ 채택, 내년불기 ‘2552년’ 아닌 ‘2551년’ 사용 내년 대회 불기 ‘2552년’ 아닌 ‘2551년’ 사용조직위원회, 7월 2일 기자간담회서 밝혀 한국불교를 전공하는 국내외 학자들이 총집결하는 2008년 불교학결집대회에서 세계 공용불기인 ‘2551년’이 채택된다.2008년 불교학결집대회 조직위원회는 7월 2일 불교학결집대회 홍보를 위한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동국대에서 열리는 4차 대회에서 불기 2551년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제4차 불교학결집대회장 이평래 충남대 명예교수는 “불기가 관점에 따라서는 하나의 숫자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전세계 불교도들이 함께 모여 동의한 사안인 만큼 이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내년 불교학결집대회에서는 세계불..

나도사진작가: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 공모전

• 응모하신 분들 중 1명을 선정하여, 다음달 내셔널 지오그래픽 잡지에 사진을 실어드리며,   "내셔널 지오그래픽 가방"을 선물로 드립니다.• 응모기간: 2008년 1월 23일부터 ~ 2008년 2월 18일까지• 당첨자 발표: 2008년 2월 19일 출처:http://www.nationalgeographic.co.kr/contest/index.asp?page=3&cno=0&field=&keyword

사랑과 탈출의 원샷! 사진공모전 주요 수상자 인터뷰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사랑과 탈출의 원샷! 사진공모전 주요 수상자 인터뷰» 니콘카메라와 함께 하는 2008 사랑과 탈출의 원샷! 독자사진공모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사랑과 탈출의 원샷! 사진공모전 대상 이명현씨이 사진 찍고 카메라가 꼴깍∼벌써 150번 넘게 공모전 수상경력, 그 돈으로 가족유럽 여행도“이게 마지막 장인데, 좋은 사진이 걸렸네요”지난해 10월 경기 여주 해여림식물원. 아내와 아들 종혁이와 함께 간 가을 나들이. 세 사람 모두가 담긴 가족사진을 찍고 싶었다. 세 사람이 손을 잡고 뛰는 장면을 생각했지만, 그러긴 힘들었다. 그래서 왼손으로는 아내의 손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카메라를 들고, 세 명이 풍차처럼 돌았다. 카메라는 셔터속도 우선 모드로 맞추고, 셔터속도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