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지식 7

중관학 강의: 이제설(二諦說)(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8이제설 (二諦說)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불교에서는 진리를 세속제世俗諦와 승의제勝義諦 둘로 구분한다. 세속제는 세속의 진리이고, 승의제는 궁극적인 진리이다. 세속제는 시간과 공간 속에 있는 진리이고, 승의제는 시간과 공간 밖에 있는 진리이다. 따라서 세속제는 가변적이고 유동적이고, 승의제는 진리 그 자체이다. 이제를 통해 진리를 구분하는 것은 중관학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부파가 각기 다른 이제설을 정의하고 있고, 이 이제설을 근거로 실천과 결과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중관귀류논증파의 관점에서 이제설을 설명하고자 한다.  1. 이제설의 성립용수보살은 『중론』에서 불교의 진리관을 “세간의 세속제와 승의제다.”라고 하..

중관학 강의: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양승규/중앙 승가대학교 강사  1.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티벳불교는 현교의 전통에서 불교논리학 · 반야학 · 중관학 · 아비달마 등의 불교교학을 승원에서 수학하는 방식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그 교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중관학이다. 티벳의 학승들에게 “당신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중관학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티벳불교는 중관학의 측면에서 모든 불교를 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관학파 중에서 티벳불교는 귀류歸謬논증중관학파를 계승한다. 이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근거로 현교와 밀교를 배우고 닦게 된다.  티벳불교가 중관학적인 바탕에서 현교를 섭수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 티벳에 불교를..

계(戒)와 율(律)의 차이

계(戒)와 율(律)의 차이  계, 선행 이끌려는 자발적 도덕 규범율, 승가질서 유지 위한 강제적 규칙 2007.01.17 09:53 입력 발행호수 : 885 호 / 발행일 : 2007-01-17 법보신문: http://beopbo.com/news/view.html?category=171&no=44779&section=93 “계율이란 말을 듣기만 해도 왠지 숨이 막혀요. 이것도 하지 마라, 저것도 하지 마라. 그럼 뭘 하면서 살라는 거예요?”주변에서 심심찮게 들려오는 불평이다. 이 불평 속에는 계율이란 출가수행자들이나 지키면 그만이지, 왜 우리 같은 재가불자까지 그 속박 밑에 있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이 잠재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즉 ‘계율=출가수행자의 율’을 동일시하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엄밀..

중관학파에 대하여,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중관학파에 대하여 1. 중관학파의 의미 2.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등의 비판반야공관에 입각한 부정논리 중도실상 연기 무아 무자성 공 등의 사상 3. 중관학파의 분류4. 중관학파(中觀學派)의 형성과 역사5. 중관학파의 학자들 초기 중관학자들중기 중관학자들 후기 중관학자들 중관학파 Madhyamika 에 대하여 > 1. 중관학파의 의미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 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 g 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 dhyamaka, M 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

한국 불교사 연대표

한국불교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 가시면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300.htm상세히 보실 수 있고요.참고로 한국불교사 연표와 불교가 한국에 처음 전래된 고구려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불교역사를 올립니다. 이후 고려,조선, 근대, 현대는 위의 주소로 들어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모두 올려 드리지 못합니다. * 한국불교사 연표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육신통[六神通] 은 무엇이며, 증득 가능한가....

옛부터  도승들은 신통자재했다. 사람들의 전생도 알고, 천리 밖에 일도 알고, 사람들의 마음도 꿰뚫어 보고, 천리 밖의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신통을 부렸다. 그러나 불가에선 이러한 신통력을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해야지 함부로 사용하면 사마외도의 술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경계를 했다.    이러한 신통력은 도가  높은 데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부처님도 육신통으로 구제불능한 외도들을 굴복시키고 불법에 귀의시키는 방편으로 활용을 했다. 육신통[六神通]에 대하여 신통 즉 초능력도 수없이 많겠으나 크게 여섯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신족통[神足通], 천이통[天耳通], 타심통[他心通],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이다. 이 중에 누진통을 제외한 나머지 신통은 요가나 타종교 수행자들..

신묘장구대다라니 한글번역

신묘장구 대다라니 경(신기하고 미묘하여 불가 사의한 큰 총지 = 진언)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삼보께 귀의합니다.)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성 스러운 관자재에게 귀의 합니다.) 모지 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보살 마하살 대비존께 귀의 합니다.)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일체의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 다사명 나막가리다바(저 자비스런 관세음보살님게 귀의하고)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예경하면 이로인해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 위신력은 출현합니다.)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타(저 청경, 명성이 높은 마음의 주(呪)에 귀의 하옵니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일체의 목적, 이익을 성취 하시고) 수반아예염 살바 보다남(길상으로서 일체의 정령들이 이길 수 없는 분이시여!) 바바말아 미수다감(삶의 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