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역사 3

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 (by 안성두)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안성두(pratipaksa@hanmail.net)::: 목 ......차 ::: 들어가는 말 삼예사 논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 삼예사 논쟁의 종교적 철학적 쟁점 티베트불교 내에서의 마하연의 유형론적 이해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불교사상사는 수행도의 기술에 있어 두 개의 상이한 이해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는 사마타(止)라고 불리는 마음의 적정을 위한 수행이고, 다른 하나는 비파사나(觀)라고 불리는 대상의 바른 관찰을 통해 사물의 무상, 고, 무아를 인식하는 수행방법이다. 이 두 개의 방식은 초기불교 이래 심해탈(心解脫)과 혜(慧)해탈로 분리되어 왔다. 양자는 슈미트하우젠의 표현을 빌리면 깨달..

티벳밀교의 분파 (by 이태승)

발행일:2011/12/14수정일:2025/04/08티벳밀교의 분파*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티베트 불교를 특징짓는 하나의 특색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곧 불교의 종파적 전개이다. 그리고 이 종파적 전개는 인도나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 각지역에 오랫동안 뿌리내린 씨족 집단과 사원이 밀접히 결부되어 전개해 가는 특색을 보이고 있다. 티베트에 등장하는 최초의 종파는 아티샤의 사상을 잇는 카담파이지만 이 카담파가 성립하는 11~12세기를 중심으로 다수의 불교종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불교 종파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카담파를 비롯해 카규(Kagyu)파, 닝마(nyingma)파, 사캬(sakya)파, 겔룩(Gelug)파를 들 수 있다. 카담파는 아티샤의 제자인 돔톤이 라뎅에 밀교도량을 세움으로서 시작된 것이..

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 (by 주민황)

발행일: 2011/12/14수정일: 2025/04/08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계간 『불교평론』겨울호- 차례 -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 ?2. 티베트 불교의 전래3. 티베트 불교의 교리적 특징4. 티베트 불교의 수행법과 그 특징5. 맺는 말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티베트 불교는 어떤 불교인가? 요즘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문제이다. 티베트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에서 변질된 불교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르친 불교는 시대에 따라서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 등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그 세 가지 중의 어느 하나라도 불교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대승불교는 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