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 32

광명진언: 업장을 소멸하고 지혜의 광명을 밝히는 멸악취 진언..

- 발행일: 2012년 11월 28일- 수정일: 2025년 03월 26일광명진언 光明眞言, 멸악취(滅惡趣)진언 옴 아모가 바이로짜나 마하무드라 마니 빠드마 즈와라 쁘라와릍따야 훔(Om amogha virocana mahamudra mani padma jvara pravartaya hum) 광명진언은 비로자나 부처님 대광명의 위신력으로 삼악도 중생을 해탈케 하는 부가사의한 힘이 있다는 진언입니다. 또, 육자대명왕진언(옴마니반메훔)의 원형이 이 광명진언이라고도 합니다. 멸악취 진언 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악취는 지옥, 아귀, 축생등의 삼악도를 말합니다. 전통적으로 진언은 해석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고 그래서 범어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만, 굳이 해석해보면 옴: 우주의 근본음아모가: 불공(不空)을 성취하신 ..

금강살타 백자진언 / 백자명주 / Vajrasattva 100 Syllable Mantra....

금강살타 백자진언 (티벳어 발음)- https://youtu.be/dwzcsw11mis 금강살타 진언의 암송은 과거와 현세에 지은 부정한 업을 빠르게 소멸시킵니다. 티벳불교에서는 탄트라의 본 수행에 들어가기에 앞서 예비수행으로 금강살타 백자진언을 10만 번 염송해야 합니다.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부정함을 정화해서 수행과정에서 어떠한 장애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금강살타 진언을 암송할 때, 반복해서 암송할 때는 진언을 ‘마하 싸마야 싸또, 아:~~’로 끝내고, 다시 반복해서 암송하기를 번복하고, 마지막으로 진언을 암송할 때에는 ‘아: [훔 뻬]’까지 암송하고 마칩니다. 마지막 진언의 종자음 ‘뻬’는 열려있는 정수리 차크라를 닫아서 진언을 암송해서 정화된 몸에 부정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합..

사후 툭담에든 티벳 노스님

>1959년 달라이라마와 티벳스님들이 인도로 망명한 이후 현재까지 50여 분이 아래 기사 내용과 같은 툭담에 들어 열반하셨습니다.아래는 2020년12월 22일 현대불교에 실린 기사 내용의 일부입니다.----------------티베트 불교에서 사후삼매는 ‘툭담’이 라고 불리며 ‘마음이 삼매에 들었다’는 뜻이다. 육신은 의학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았으나 수행자의 의식이 아직 몸 안에 남아 깊은 삼매에 들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시신에는 사후 경직, 부패 등의 사망 징후가 보이지 않고 며칠 길게는 몇 주 동안 어떠한 보존 처리 없이 생전과 동일한 모습을 유지한다. 특별한 경우엔 시신의 크기가 신생아 크기로 줄어드는 경우도 보고된다.다르걜 스님이 입적한 남인도의 간대사원은 현재 평균 20도 이상의 온도가 ..

37조도품 (三十七助道品)

* 37조도품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으로 즉, 4념처(四念處,) · 4정근(四正勤) · 4신족(四神足) · 5근(五根) · 5력(五力) · 7각지(七覺支) · 8정도(八正道)를 말한다. 초기불교의 《아함경》에서 고타마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의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낱말로,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이다빨리어로 ‘Bodhipaksa Dhamma (도품/道品)’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깨달음(bodhi, 보리)에 속하는 법(Dhamma, 法)', 또는 '깨달음에 관계된 법'이다.  1. 4념처(四念處)‘네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이라는 뜻이다. 빠알리어로 ‘짜따로 사띠빳타나(catttaro satipattha..

츰부 다라니(참부 다라니, ksam bhu dharani) 한글 번역....

백중 영가 천도 3-7일 기도로 영단에 참부 다라니를 독송해 드리고 있습니다. 참부다라니는 지장십륜경 서품에 수록되어 있으며, "구족수화 길상광명 대기명주 총지장구"라고도 불리며 지장보살님께서는 이 다라니를 설하신 연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셨습니다. 이 다라니는 모든 번뇌를 맑혀주고, 싸움을 종식시키고, 나쁜 생각을 없애 주느니라. 이 다라니는 모든 희망을 이루어주고, 모든 곡식을 여물게하며, 모든 부처님의 가호를 받게 해주고, 모든 보살님의 가호를 받게 해주느니라." 이 진언은 살아있는 이와 영가 모두의 탁하고 삿된 기운을 맑혀주고 진리의 등불을 항상 밝히게 하여 정법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모든 생명들이 서있는 자리에서 불법을 배우고 닦는 수행을 하게하고 깨달음에 이르도록 삼독심(三毒心)의 어둠에서 ..

수행의 향기: 한국불교법륜종 도솔산 보광사 금암스님(前 법륜종 종정)

수행의 향기 【수행한담】 금암 대영스님 금암스님前 법륜종 종정> “참회하는 마음이 좋은세상 만듭니다” - 마음의 때 벗겨내야 불성 드러나요- - 부지런하면 건강도 복도 절로 얻어- *약력 ·1914년 금산군 진산면 生 ·30년 공주 동학사로 출가 ·36년 동학사 불교전문강원 사교과 졸업 ·38년 완주 위봉사 연합불교전문강원 대교과 수료 ·42년 영월 보덕사 포교사 ·46~47년 공주 동학사 주지 ·74년 대전 보광사 창건, 현재 주석 ·83~85년 태고종 충남교구종무원장 ·88~95년 법륜종 창종, 초대 종정 취임 요즈음 부쩍 세상사람들조차 불교재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불자들 사이에서는 바람직한 운용을 두고 의견들이 분분합니다. 무소유가 수행자의 근본이라, 사실 불교재산은 세속..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1-1-2. 지혜와 방편)

작성일: 2015년 3월 2일작성자: O_Sel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 1-1-2. 지혜와 방편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수행에 기반이 되는 핵심적인 교의는 공사상(空思想) 이다. 즉, 이들 두 승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공성을 깨달아 번뇌장과 소지장을 소멸시키고 무주처열반에 이르는 것이다. 이 때, 공성의 자각을 '지혜(智慧, prajna)'라 하고 이러한 지혜로 이끄는 수단을 '방편(方便, upaya)'이라 한다. 대승의 보살이 불과(佛果)를 성취하기 위해서 실천하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6바라밀 가운데 마지막 지혜바라밀은 모든 현상이 공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자각하는 '지혜'이고, 선행하는 보시 지계 인욕 등의 바라밀은 지혜로 인도하는 '방편'인 것이다. 예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