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복에 이르는 길..../학술, 교학 25

아함경과 니까야의 연관성과 차이점....

- 발행일: 2008년 1월 16일- 수정일: 2025년 3월 30일 아함은 산스크리트 아가마(gama)의 음역으로서, 전승(傳承)이란 의미의 말이다. 이 이름으로 불려지는 문헌이 현재 《한역대장경(漢譯大藏經)》 안에 네 가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① 《장아함경(長阿含經)》 ② 《중아함경(中阿含經)》 ③ 《잡아함경(雜阿含經)》 ④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이다.  이 넷은 산스크리트 원전에서 한역된 것이 분명하며, 이 중 《장아함경》의 원전은 그 일부분이 현재 남아 있어서 대조 검토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을 제외하고는 한역 아함의 원본은 전래되지 않는다.  위의 네 가지 아함 중에서 크기로 보면 《장아함경》이 제일 적어 22권이고, 나머지 ② ③ ④는 각각 60권, 50권, 50권으로 상당한 분량에 달하..

능엄신주(능엄경, 수능엄경) 한글 번역

- 발행일:2008년 1월 10일- 수정일:2025년 3월 31일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 K-426(13-793). T-945(19-105). 당(唐) 시대(A.D. 705) 번역. [역] 반랄밀제(般剌蜜帝). [범] Sarvatath gatasyaguhyasiddharthaabhisamayahetusarvabodhisattv syacaryasamuttade abuddho a ra gama-s tra. [장] Bcom-ldan- das-kyi gtsug-gtor chen-po de-bshin-g egs-pa i gsa -ba sgrub-pa i don m on-par thob-pa i rgyu bya -chub-sems-dpa thams-cad..

화엄경 약찬게(略纂偈) 해설_무비스님

오늘하고 다음 한번하고 해서 약찬게(略纂偈)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 동한 화엄경(華嚴經)의 일부인 여래출현품(如來出現品) 공부를 했습니다. 근데 여래출현품은 화엄경 사십품 가운데 한 품이죠. 그 공부가 이제 끝나고 전체적으로 화엄경이 어떻게 구성이 되었는가 하는 것을 우리가 한 번 알기 위해서 약찬게 공부를 하고 그 담에 또 약찬게 끝나면 이어서 이제 그 사상과 뜻은 또 무엇인가 하는 것을 살펴보는 뜻에서 법성게(法性偈)를 또 그 한 시간하기로 그렇게 했습니다. 그래서 약찬게 두 시간 법성게 한 시간 이렇게 이제 하기로 했죠. 럼 용수보살(龍樹菩薩)은 어떤 분인고하면 어디 관세음보살이나 지장보살같이 그런 분이 아니고 부처님제자로서 그 뛰어난 분들을 우리가 일컬을 때 존자(尊者)라는 말도 쓰고, 보살(菩薩..

금강경의 개요

1. 금강경의 개요 * 부처님 열반이후 약 500년이 지나 오면서 아함경의 가르침을 기초로 하여 다른 수많은 대승 경전들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대승경전 가운데 가장 초기에 성립된 경전이 600권이나 되는 반야경이다. 금강경은 600권의 대반야경중 577부에 들어있는 능단금강분을 말하며 기원후 500년 경부터 바즈라체디까쁘랑냐빠라미따쑤뜨라(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란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한문으로는 금강반야바라밀경 혹은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줄여서 금강경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로는 간략히 다이야몬드경(Diamond sutra)이라고 하나 정확히 그 의미가 들어맞는 것이라고 보기는 힘든다. * 반야부 계통의 경전 가운데 '반야심경'과 함..

티벳 반야심경(by 소남스님)

티벳 반야심경 티베트 반야심경강설 1 반야심경은 지혜바라밀의 정수 반야심경은 불자들이 가장 애송하는 경전입니다. 많은 해설서들이 출간되었지만, 제대로 뜻을 새기기 녹록치 않은 공성의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티벳에서는 반야심경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지난해 11월 열렸던 티벳 소남스님의 반야심경 강설을 모두 5차례에 나눠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지금 여러분에게 반야심경과 관련하여 세 종의 문서를 나눠 드렸습니다. 첫 번째는 티베트어 반야심경을 한국어로 옮긴 것입니다. 두 번째는 돈황본 반야심경입니다. 티베트에서 읽는 반야심경과 한국에서 흔히 읽는 반야심경은 좀 다르지만, 돈황본과 티벳본은 많이 가깝습니다. 세 번째는 티베트의 고승 잠양 가외 로되의 반야심경 해설목차입니다. 반야심경이 짧은 경전이지만, 경전의 형..

지장(地藏)신앙의 이해

제 1절 왜 지장 신앙의 실천인가 제 2절 지장 신앙이란 무엇인가 제 3절 지장신앙의 사상적 기초 제 4절 지장보살은 누구인가 제 5절 지장경의 사상과 가르침 제 6절 지장신앙의 신행과 실천 제 7절 지장신앙의 의례와 기능 제 1절 왜 지장 신앙의 실천인가? 불교의 가르침은 참으로 광대하고 넓어서 그야말로 거대한 가르침의 바다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 모든 가르침은 질서정연한 사상적 틀을 구성하고 있으며 받아들이는 그릇에 따라 근기에 맞게 설해져 있다. 예를 들자면 인과(因果)의 가르침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자신을 보게 하는 가르침이다. 또 반야사상은 나를 진리와 함께 살 수 있도록 지혜를 주는 가르침이며, 법화와 화엄의 사상은 우리 스스로가 보살과 부처로 살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가르침이다. 이렇게..

대승장엄경론 [大乘藏嚴經論]

대승장엄경론 [大乘藏嚴經論]: 인도의 무착(無着:약 310∼390)이 지은 불교서적 게송 부분은 미륵의 말을 아상가가 전해받아 기록한 것이고, 산문 부분은 게송에 대한 주석으로 세친(世親)이 형인 아상가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한 것이다. 따라서 미륵·무착·세친의 공동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630∼633년 사이에 프라바카라미트라(Prabhakaramitra)가 한역하였다. 모두 13권이며, 연기품 등 24개 품(品)으로 구성된다. 단, 산스크리트본은 21품이다. 24품은 연기품·성종품(成宗品)·귀의품·종성품(種性品)·발심품·이리품(利利品)· 진실품·신통품·성숙품·보리품·명신품·술구품(述求品)·홍법품(弘法品)· 수수품(隨修品)·교수품(敎授品)·업반품(業伴品)·도섭품(度攝品)·공양품· 친근품(親近品)·범주품(..

현관장엄론 [現觀莊嚴論]

현관장엄론 [現觀莊嚴論]-미륵지음  《대품반야경》을 해설한 문헌이다. 원제는 《Abhisamayalamkara》이다. 티베트에서는 미륵5부서(部書) 중 첫째로 손꼽는다. 이 책이 나온 후 《반야경》에 대한 주석서는 대부분 이 책의 주석방법을 이용하였다. 특히 티베트에서 중요시하여 여러 차례 간행되었으며, 현존하는 것만도 20여 종에 이르고 지금도 반야학의 입문서로 널리 애용된다고 한다. 총 272송(頌)을 8품으로 구성하였다.책명의 ‘현관(現觀)’은 깨달음의 단계를 뜻한다. 현관을 모두 8종, 즉 ① 일체상지성(一切相智性) ② 도지성(道智性) ③ 체지성(切智性) ④ 일체상현등각(一切相現等覺) ⑤ 정현관(頂現觀) ⑥ 차제현관(次第現觀) ⑦ 찰나현관(刹那現觀) ⑧ 법신(法身)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 중 ..

여래장경 [如來藏經]

여래장경 [如來藏經]여래장을 설명한 것으로는 최초의 경전이다. 《대방등여래장경》 또는 《대방광여래장경》이라고도 부른다. 서진(西晋)의 법거(法炬:290∼312)가 한역하였다고 전하므로 아무리 늦어도 3세기초에는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법거 이외에 동진(東晋)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359∼429)와 당의 불공(不空:705∼774)이 420년과 8세기에 각각 한역하였다. 중생 속에 실재하는 여래장을 9가지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고 각 비유의 뒤에는 반드시 게송을 제시하여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내용은 매우 단순하여 ‘일체중생여래지장상주불변’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열반경》에 나오는 ‘모든 중생은 다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상을 계승한 것이다. 9가지 비유는 뒤에 《보성론》이나 ..

밀교 (密敎, Vajvayāna)에 대해서....

밀교 (密敎, Vajvayāna)에 대해서.... 요약 불교 유파. 현교(顯敎)에 대응되는 명칭으로, 비밀불교·진언불교라고도 한다. 설명 불교 유파. 현교(顯敎)에 대응되는 명칭으로, 비밀불교·진언불교라고도 한다. 밀교의 연혁 인도 대승불교의 말기인 7세기 후반에 갑자기 융성한 유파로, 대승불교의 《반야경(般若經)》 《화엄경(華嚴經)》과 중관파(中觀派)·유가행파(瑜伽行派) 등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여기에 힌두교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밀교의 독립은 《대일경(大日經)》 《금강정경(金剛頂經)》 등 근본경전의 성립과 더불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전에도 많은 밀교계(系)의 경전이 있었으며, 따라서 밀교의 뿌리는 멀리 베다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할 수 있다. 즉, 베다시대에 만트라(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