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정보 13

티베트 문화와 불교 (by 주민황)

티베트 문화와 불교발행일: 2022/12/14수정일:2025/04/08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월간 『샘이 깊은 물』 12월호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 티베트는 신비의 땅으로 불린다. 주변국가와의 왕래를 거부하는 자연환경에 둘러싸여서 자신의 세계를 가꾸어 온 티베트는 물질문명에 압도되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신선한 바람을 불러올 정신세계를 간직하고 있다. 가난하고 비참한 환경 속에서도 낙천적인 웃음과 친절을 베풀 수 있는 것은 티베트의 정신문화가 지니고 있는 힘이다. 티베트 사람들의 핏줄에는 태어날 때부터 불교가 흐르고 있다고 말한다. 티베트의 문화란 불교문화라고 할 만큼, 티베트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는 불교가 스며들어 있다. 그이들을 여유 있고 자비롭게 만드는 티베트 불교의 성격은 어떤 것일까, 과연 ..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 (by 이지수)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글쓴이 : 이지수 (동국대 교수)출 처 : 월간『금강』 2545년 3월호인도의 이해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티벳 불교)」앞에서 말했듯이 현대 인도의 불교 부활에 있어서 마하보디 협회와 암베드까르의 신불교운동과 더불어 티벳 망명민들의 불교가 갖는 역할도 적지 않다. A.D 7세기, 송첸감뽀 왕의 불교귀의와 그리고 인도의 샨따락쉬따(寂護)의 인도 방문과 더불어 시작된 티벳의 불교는 오늘날까지 천삼백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중국의 선불교, 남방의 테라와다 불교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불교문화를 형성했다. 경전들이 학승들(티벳인과 인도인)에 의해 다른 시대에 도입됨에 따라 여러 집단들이 서로 독립된 조직으로 자라났고 그 결과 티벳불교는 네 개의 주요 교파로 갈라졌다. 인도의 밀교수행자 빠..

달라이 라마, 그는 누구인가? (by 김충현)

14대 달라이 라마 "텐진갸쵸" 1989년 노벨 평화상은 티베트의 법왕, 제14대 달라이 라마인 텐진 갸초에게 주어졌다. 그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티베트가 겪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삶과 조국의 실정, 그리고 비폭력과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경건함이라는 커다란 메시지를 자서전 속에 담아내고 있다. 1935년 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티베트 불교의 전통에 따라 아주 어린 나이에 선대 달라이 라마의 화신으로 인정받아 이때부터 특별한 삶을 살게 된다. 티베트가 중국의 침략을 받은 해, 열 다섯의 나이로 그는 통치자로서 전권을 위임받고, 티베트의 주권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1959년 결국 인도로 망명한다. 이후 반세기에 가까운 그의 망명생활은 자유와 평..

청산은 나를보고(나옹선사).....

'靑山兮要我 청산은 나를보고'                                                                                 - 나옹선사 (懶翁禪師, 1320-1376)  -                              靑山兮要我以無語[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蒼空兮要我以無垢[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

한국 불교사 연대표

한국불교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 가시면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300.htm상세히 보실 수 있고요.참고로 한국불교사 연표와 불교가 한국에 처음 전래된 고구려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불교역사를 올립니다. 이후 고려,조선, 근대, 현대는 위의 주소로 들어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모두 올려 드리지 못합니다. * 한국불교사 연표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김해의 유물 파사석탑에대한 허명철님의 글

질문이 좋아 인터넷 검색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 보았습니다.아래는 김해 금강병원 원장님으로 계시는 허명철의학박사님의 글입니다. 좋은 내용인 것같습니다. 오랜 연구로 내용상의 가치가 많은 것같습니다. 국내 사학자들이 최초 불교의 전래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봄직한 내용이라 생각되네요.산야를 무심코 걷다가 깨어진 석물이나 토기들을 대할 때가 있다. 이럴때마다 귀중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주워서 이리저리 관찰하며 나름대로 음미해 보곤 한다. 김해라는 옛 가야의 왕도에는 문화유산들이 많이 산재되어 있으며 도굴꾼이 하도 많다보니 여기저기 버려진 유물조각들이 많아 문화를 아끼는 한 사람으로 당연한 자세이리라 본다. 김해 구산동 구지봉 산자락에는 사적 제 74호인 가야 수로왕비인 허황옥의 무덤이 있다. 이 경내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