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탐구 13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4) 탄트라(Tantr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4) 탄트라(Tantra) 서양에서는 밀교를 일반적으로 Esotericism이나 Tantrism으로 표현하고 있다. Esotericism은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다'는 의미를 뜻하는 데서 연유하여 명명되었다. 이는 비밀불교의 비밀스럽고 신비함에 비중을 둔 어휘로서 이는 '비밀승'으로 불리우는 Vajrayana에서, Tantrism은 'Tantra'라는 어휘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측된다. Esotericism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비밀승'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탄트라'(Tantra, Tantrism)에 대해서 언급토록 하겠다. 본래 탄트라는 고대 인도의 Veda에서 종교의식상 여러 가지의 비법(秘法)과 화제(火祭) 등을 행하였던 것으로,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중기·후기의 밀교에서는 금강승과 함께 구생승, 시륜승 등의 용어가 주로 등장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은 후기밀교라 일컬어지는 '무상유가밀교'에 나타나는 용어들이다. 구생승은 범어로 Sahaja-yana라고 하며, 인도 후기밀교에 일어난 것으로 힌두탄트리즘과 거의 비슷한 관념과 행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구생승의 교리와 실천이 성력숭배와 남녀합일의 성적 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지만, 반야와 방편의 교리가 중기의 순수밀교에 나타나는 지혜와 자비의 보리심 사상과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보리심 자체를 완전한 깨달음으로 보지 않는데서 더욱 발전된 밀교로 나..

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 (by 안성두)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안성두(pratipaksa@hanmail.net)::: 목 ......차 ::: 들어가는 말 삼예사 논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 삼예사 논쟁의 종교적 철학적 쟁점 티베트불교 내에서의 마하연의 유형론적 이해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불교사상사는 수행도의 기술에 있어 두 개의 상이한 이해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는 사마타(止)라고 불리는 마음의 적정을 위한 수행이고, 다른 하나는 비파사나(觀)라고 불리는 대상의 바른 관찰을 통해 사물의 무상, 고, 무아를 인식하는 수행방법이다. 이 두 개의 방식은 초기불교 이래 심해탈(心解脫)과 혜(慧)해탈로 분리되어 왔다. 양자는 슈미트하우젠의 표현을 빌리면 깨달..

밀교의 올바른 이해 (by 허일범)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밀교의 올바른 이해허일범(진각대학교 교수) 밀교라는 개념의 재정립밀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이나 일본에 불과하며 그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쓰는 밀교라는 개념과는 다른 용어들을 쓰고 있다. 그것은 밀교를 대승불교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느냐, 아니면 대승불교와는 다른 별개의 사상체계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그차이가 있다. 이 점 각국의 학계에서도 용어에 대한 확실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밀교에 대한 확실한 개념이 확립되지도 않은 현단계에서 밀교라는 용어가 거부감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어만 보아도 내용을 바로 알듯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서양이나 일본의 개설서들이 독자들에게 준 영향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재로..

티벳밀교의 분파 (by 이태승)

발행일:2011/12/14수정일:2025/04/08티벳밀교의 분파*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티베트 불교를 특징짓는 하나의 특색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곧 불교의 종파적 전개이다. 그리고 이 종파적 전개는 인도나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 각지역에 오랫동안 뿌리내린 씨족 집단과 사원이 밀접히 결부되어 전개해 가는 특색을 보이고 있다. 티베트에 등장하는 최초의 종파는 아티샤의 사상을 잇는 카담파이지만 이 카담파가 성립하는 11~12세기를 중심으로 다수의 불교종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불교 종파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카담파를 비롯해 카규(Kagyu)파, 닝마(nyingma)파, 사캬(sakya)파, 겔룩(Gelug)파를 들 수 있다. 카담파는 아티샤의 제자인 돔톤이 라뎅에 밀교도량을 세움으로서 시작된 것이..

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 (by 주민황)

발행일: 2011/12/14수정일: 2025/04/08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계간 『불교평론』겨울호- 차례 -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 ?2. 티베트 불교의 전래3. 티베트 불교의 교리적 특징4. 티베트 불교의 수행법과 그 특징5. 맺는 말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티베트 불교는 어떤 불교인가? 요즘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문제이다. 티베트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에서 변질된 불교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르친 불교는 시대에 따라서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 등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그 세 가지 중의 어느 하나라도 불교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대승불교는 부처..

티베트 문화와 불교 (by 주민황)

티베트 문화와 불교발행일: 2022/12/14수정일:2025/04/08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월간 『샘이 깊은 물』 12월호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 티베트는 신비의 땅으로 불린다. 주변국가와의 왕래를 거부하는 자연환경에 둘러싸여서 자신의 세계를 가꾸어 온 티베트는 물질문명에 압도되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신선한 바람을 불러올 정신세계를 간직하고 있다. 가난하고 비참한 환경 속에서도 낙천적인 웃음과 친절을 베풀 수 있는 것은 티베트의 정신문화가 지니고 있는 힘이다. 티베트 사람들의 핏줄에는 태어날 때부터 불교가 흐르고 있다고 말한다. 티베트의 문화란 불교문화라고 할 만큼, 티베트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는 불교가 스며들어 있다. 그이들을 여유 있고 자비롭게 만드는 티베트 불교의 성격은 어떤 것일까, 과연 ..

중관학 강의: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양승규/중앙 승가대학교 강사  1.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티벳불교는 현교의 전통에서 불교논리학 · 반야학 · 중관학 · 아비달마 등의 불교교학을 승원에서 수학하는 방식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그 교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중관학이다. 티벳의 학승들에게 “당신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중관학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티벳불교는 중관학의 측면에서 모든 불교를 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관학파 중에서 티벳불교는 귀류歸謬논증중관학파를 계승한다. 이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근거로 현교와 밀교를 배우고 닦게 된다.  티벳불교가 중관학적인 바탕에서 현교를 섭수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 티벳에 불교를..

윤회와 탄트라 (by 조환기)

윤회와 탄트라글쓴이 : 조환기(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 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티벳의 링 린포체 왕사(王師)께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환생한 왕사의 사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불교의 토양인 인도에서는 윤회관(輪廻觀)이 모든 사상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다. 윤회는 고통스러운 존재들의 본모습을 여실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부처님도 윤회에 대해서는 종종 말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삶의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표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티벳에서 환생이 등장하게 된 것은 카르마 파(Karma pa)를 통해서이다. 티벳 카르마파의 흑모파의 스승..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by 이태승)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 출 처 : 불교신문 연재 "불교사 100장면" 가운데 티베트 불교 부분. 삼예의 종론티베트에 불교가 도입된 것은 8세기말경의 일로, 이는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기원 1세기경과 비교해 보면 대략 7백년 정도 이후의 일이 된다. 그리고 지리적 여건상 티베트는 인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아울러 중국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티베트에서의 불교 도입도 또한 인도와 중국의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이러한 관련이 첨예한 대립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사건이 티베트의 삼예(bSam yas) 사원에서 거행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와 대론으로 소위 "삼예의 宗論"으로 알려진 御前論爭이다. 티베트의 불교 전래초기에 거행된 이 논쟁을 계기로 티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