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 10

보살의 서원, 보살계 (by 달라이 라마)

보 살 의  서 원제14대 달라이라마께서 강의하신 내용 보리심 발원하기보리심을 발원하기 위한 서약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1. 혼탁해져가는 이 삶에서 서원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2. 앞으로의 삶에서 어떻게 수행을 유지하고 강화시켜갈 것인가?------------------------ 1. 혼탁해져가는 이 삶에서 서원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 1) 영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리심의 이익을 깊이 명상해야 합니다.① 보리심만이 대승의 길로 들어가는 유일무이한 문입니다.② 당신은 부처님의 자식이라고 불리워질 것입니다.③ 당신은 아라한들의 능력도 뛰어넘을 것입니다.④ 당신은 최고의 존경과 공양을 받는 분이 될 것입니다.⑤ 당신은 광대한 공덕을 두루 갖추게 될 ..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 (by 김 무생)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요즈음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이라는 진언이 방송매체를 타고나서 세인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심경을 즉시적으로 표현한 말을 가리킨다. 사람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그것을 표현한다. 진언은 바로 상징적인 말, 즉 상징어인 것이다. 불교에서는 수행이 깊은 사람의 깨달음을 상징적인 말로써 표현한 많은 진언이 있다. 상징어는 그 속에 많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진언은 깨달음의 심경 등, 팔만사천 경전의 의미를 축약적으로 담고 있다. 그래서 다라니(摠持)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진언을 염송(외움)함으로써 마음의 안정(선정)을 얻게 되고, 진언이 담고 있는 깨달음..

집착에서 벗어나는 법(수식관, 오정심관, 사념처)

집착에서 벗어나는 법불광법단 2003년 11월 통권 349호글· 광덕  a 사념처(四念處)라고 하는 것은 부처님께서 반야의 법문을 설하시기 이전에 설하신 것으로 출가하신 스님네들의 불교수행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초기의 법문입니다. 열반에 드실 무렵에도 제자들이 “어디에 머무오리까?” 하고 물었을 때 “사념처에 머물어라.”고 할 정도로 부처님께서 간절히 마음을 두셨던 법문입니다.사념처가 무엇인가 하면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으로 만져지는 이 현상 차별세계에 관한 법문입니다. 우리가 현실세계에 매달리고 집착해서 고(苦)를 취했기 때문에 그 고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 현실에 집착을 떼게 하기 위해서 설하신 현상에 대한 법문, 이것이 사념처고 오정심관(五停心觀)입니다.다섯 가지 허물을 막는 수행 ..

계정혜(戒·定·慧)를 닦아라

계정혜(戒·定·慧)를 닦아라  초기경전에 설해져 있는 불교의 수행 덕목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 모든 수행 덕목은 지계(持戒)와 선정(禪定)과 지혜(智慧)의 삼학(三學)에 귀속시킬 수 있다. 계학(戒學)이란 수행 방법 중에도 특히 정의적 습관적인 악덕을 교정하여 선한 덕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계(戒)라는 말에는 습성 습관의 의미가 있다. 즉 선이든 악이든, 습관적 행위를 모두 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측면은 파계(破戒, sila-vipatti, 毁戒)라든가 악계(惡戒, dussila)라고 부르고, 단지 계라고만 할 때에는 선한 습관적 행위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세속적 의미에서의 계란 도덕적 행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실라(sila)는 영어의 moral이라든가 e..

육신통[六神通] 은 무엇이며, 증득 가능한가....

옛부터  도승들은 신통자재했다. 사람들의 전생도 알고, 천리 밖에 일도 알고, 사람들의 마음도 꿰뚫어 보고, 천리 밖의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신통을 부렸다. 그러나 불가에선 이러한 신통력을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해야지 함부로 사용하면 사마외도의 술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경계를 했다.    이러한 신통력은 도가  높은 데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부처님도 육신통으로 구제불능한 외도들을 굴복시키고 불법에 귀의시키는 방편으로 활용을 했다. 육신통[六神通]에 대하여 신통 즉 초능력도 수없이 많겠으나 크게 여섯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신족통[神足通], 천이통[天耳通], 타심통[他心通],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이다. 이 중에 누진통을 제외한 나머지 신통은 요가나 타종교 수행자들..

주력 수행의 효과: 독송은 과거의 업장 소멸에 탁월....

독송은 과거의 업장 소멸에 탁월 정진하면 마음의 평화 찾아와 마음 다해 지송…깨달음 얻어  “독송이 거듭될수록 마음이 환해지고 지혜가 생기며 현실의 문제에 겁을 내거나 피하려는 마음이 들지 않고 잘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강한 긍정의 힘이 생겨 튼튼한 울타리가 되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다.”주력 수행을 열심히 한 어느 보살님의 글이다. 이 밖에도 주력 수행을 한 결과 1급 시각장애자가 시력을 회복하거나 갖가지 병고에서 벗어나 육신의 건강을 찾은 예도 아주 많다. 특히 중요한 것은 주력 수행을 통해 마음이 여유로워지거나 관대해 지고 주변의 사물을 보는 시각이 넓고 깊어져 마음의 안정과 평화를 얻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주력 수행은 과거의 업장을 다스리는데 어느 수행보다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

용성 스님의 천수다라니 지송 수행법

■ 용성 스님의 천수다라니 지송수행법 생사는 인생에서 가장 큰 일인데, 어떻게 해야 견성(見性)할 수 있습니까?” “지난 세상의 업장은 무겁고 선근은 약하니 견성하기 어렵다. 그러니 대비심주(천수다라니)를 부지런히 외워라. 그러면 자연히 업장이 소멸돼 마음의 광명이 드러나게 된다.” 한국 근대 고승 수월 스님과 용성 스님의 문답. 16살에 해인사로 출가한 용성 스님은 의성 고운사에서 수월 스님을 뵙고, ‘천수다라니’ 독송법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다. 그럼 대선사인 용성 스님(사진)은 천수다라니를 어떻게 지송했을까? 스님의 저서 에 따르면, “항상 깨끗이 목욕하고 옷을 자주 갈아입으며 향을 피워 일심정성으로 다라니를 지송하라”며 4가지 독송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다라니를 소리 높여 욀 ..

경북 의성 고운사 수월스님(1817~1893)

김수월(水月永旻, 1817~1893)스님수월 영민 선사(1817~1893)는 수행하는 납자로서의 삶을 충실히 살다간 고운사의 대표적인 선지식이다. 충남 홍성 출신으로 연변에 화엄사를 건립한 수월 음관 스님과는 동시대의 인물이다.의성군에서 태어난 선사는 17세 때 고운사에서 출가해 송암 스님에게 구족계를 받고 혜월 화상의 법을 이었다. 각화사 남암에서 10년간의 면벽 수행 결사를 시작한 이후 전국의 선지식을 찾아다니며 깨달음을 향한 구법 순례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봉암사 결사 이전에 이미 선사를 비롯한 이 땅의 수행자들이 오직 깨달음을 위해 ‘법대로 살자’는 용맹정진의 삶을 추구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선사는 생전에 많은 제자들에게 법을 전했다. 민족대표 33인이었던 백용성 스님도 수월 선사에게 법을..

부처님 몸에서 나왔다는 진신사리 갯수 몇개나 되죠?

불교는 이적이나 기적이나 현실그대로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것들에 일체 집착을 못하게 하는 종교입니다 사리라는 것도 인간의 육체를 갖인자가 수행을 깊이하면서 육바라밀 여섯가지 공덕(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를 성취하고 계정혜 삼학을 훈습 하여서 생겨지는 것인데 부처님께서는 이미 마음을 크게 깨달으신 경지에서 그사리가 부수적으로 생겨지게 되는 스님들의 육바라밀과 계정혜에대한 정신적인 것보다 눈에 보이는 사리에만 집착할것을 우려해서 내가 사파세계 수명을 다한 후에 나를 다비(화장) 하고 나면은 팔곡사두(우리표현으로 8말4되)의 사리가 나오지만 그사리가 갖인 의미보다 그져 눈에 보여지는 물질로서 사리에대한 욕심으로 국가간에 전쟁가지 이를것에 대비하시어 각나라마다 갖어가게될 양을 미리 분배를 해놓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