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지식 8

중관학 강의: 자립논증 중관학파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자립논증 중관학파  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티벳불교는 교학의 근원을 귀류논증중관학파에 두고 있다. 그러나 이 귀류논증중관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립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한다. 불교 내외의 여러 부파의 교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헌인 둡타(Grub mtha', 宗義)에서는 불교의 부파를 유부有部, 경량부經量部, 유식唯識, 중관中觀의 4대 부파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4대 부파의 교의체계에서 아래 부파의 교의는 다음 부파의 교의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이것은 둡타문헌에서는 중관학을 토대로 불교교학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유부를 경량부가 비판하고, 경량부를 유식이,..

중관학 강의: 인무아人無我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인 무 아 (人無我)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중생들이 끝없이 윤회하는 것은 업을 짓고, 업에 대한 과보를 받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우리들은 업을 짓는 주체가 있고, 업의 과보를 받는 주체가 있다고 생각한다. 선업이든 악업이든 업을 지으면 과보가 생길 때까지 업력이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담고 있는 주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업과는 한 생 안에서 일어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내생 또는 몇 생 후에 그 과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업력은 몇 생에 걸쳐 동일한 주체에 연속적으로 계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일한 주체가 존재해야 하고 이것이 곧 자아..

중관학 강의: 법무아法無我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수정일: 2025/04/09)법무아 (法無我) 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사람을 시설하는 토대인 오온五蘊, 지地 등의 육계六界, 눈 등의 육처六處 등이 법이다. 이러한 법이 실체로 성립하지 않는 것이 법무아다. 법무아를 결택하는 방식에는 본질적인 측면과 발생적인 측면에서 법의 무아를 확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는 주로 같은 것과 다른 것의 인因으로 설명하고, 후자는 주로 사구四句의 발생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법무아를 논증하는 토대는 제법이 연기緣起한다는 연기의 인이다. 1.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법무아 유위법은 인과因果의 작용이 일어나는 법이고, 형색形色․인식認識․불상응행不相應行 셋이 있다. 유위법을 같은 것과 다른 것의 인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티벳밀교의 분파 (by 이태승)

발행일:2011/12/14수정일:2025/04/08티벳밀교의 분파*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티베트 불교를 특징짓는 하나의 특색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곧 불교의 종파적 전개이다. 그리고 이 종파적 전개는 인도나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 각지역에 오랫동안 뿌리내린 씨족 집단과 사원이 밀접히 결부되어 전개해 가는 특색을 보이고 있다. 티베트에 등장하는 최초의 종파는 아티샤의 사상을 잇는 카담파이지만 이 카담파가 성립하는 11~12세기를 중심으로 다수의 불교종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불교 종파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카담파를 비롯해 카규(Kagyu)파, 닝마(nyingma)파, 사캬(sakya)파, 겔룩(Gelug)파를 들 수 있다. 카담파는 아티샤의 제자인 돔톤이 라뎅에 밀교도량을 세움으로서 시작된 것이..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Ⅰ. 들어가는 말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해 항상 궁금하게 생각해 왔다.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생명체들은 어떻게 해서 생겨났으며 어떻게 지금까지 생멸을 거듭하며 존속해 오고 있는가. 이러한 궁금한 문제들을 해결키 위해 끊임없이 연구를 해왔는데 그 가운데 최초의 우주론은 절대자에 의한 우주창조론(說)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아직 인간의 지혜가 몽매하던 때에 이 우주에는 절대자인 신이 있어서 우주만물을 창조했다는 신화를 만들어 낸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지혜가 점차 발전함에 따라 보다 더 합리적인 우주 인생의 원리를 탐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동서고금의 종교사상 내지는 철학사상에 의거한..

상좌불교와 대승불교의 식육관 비교, 불교는 육식을 금하는가?

1. 들어가는 말 상좌불교와 대승불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다른 전통을 갖고 있다. 교리적·사상적 측면은 물론 실천적 특성에 있어서도 거의 정반대로 보이는 입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졸고, [상좌불교와 대승불교의 실천적 특성 비교], {釋林} 제36집 (서울: 동국대 석림회, 2002), pp. 73∼94.}} 계율적인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좌불교가 보다 보수적이고, 대승불교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진보적인 성향을 띄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출가자가 고기를 먹는 것, 즉 식육(食肉)에 한에서는 상좌불교 국가에서는 허용되고 있는데 반해서 오히려 대승불교 국가에서는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다. 현재 불교 승단에서 채식을 고수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대만·홍콩·한국·일본 등 주로 대승불교권이다. 반..

의상조사 법성계

의상조사 법성계  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법의 성품 원융하여 두 모양이 본래 없고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모든 법이 부동하여 본래부터 고요하네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이름없고 모양 없어 일체가 다 끊어졌으니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깨친 지혜로 알 일일뿐 다른 경계로 알 수 없네. 진성심심극미묘 眞性甚深極微妙 -참성품은 깊고 깊어 지극히 미묘하여 불수자성수연성 不守自性隨緣成 -자기 성품 고집않고 인연따라 나투우네. 일중일체다중일 一中一切多中一 -하나 안에 일체 있고 일체 안에 하나 있어 일즉일체다즉일 一卽一切多卽一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라. 일미진중함시방 一微塵中含十方 -한 티끌 그 가운데 온 우주를 머금었고 일체진중역여시 一切塵中亦如是 -낱낱의 티끌마다 온 우주..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한글번역 by 무비스님....

신묘장구대다라니 지금부터는 천수경의 가장 핵심이 되는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내용을 무비스님 풀이를 중심으로 설명해 보기로 하겠습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음보살의 위신력, 지혜, 자비, 과거의 행적, 관세음보살의 여러 가지 모습 등이 담긴 천수경의 심장부에 해당됩니다. 즉, 천수경의 핵심이며 안목을 나타낸 부분이 바로 신묘장구대다라니인 것입니다.말하자면, 관세음보살의 온갖 숨겨진 비밀과 내력을 하나 하나 들추어내는 것입니다.결국 천수경이라는 경전은 다라니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다라니의 내용을 잘 이해한다면 관세음보살이 과연 어떤 분인가를 가장 잘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다라니 속에는 관세음보살에 대한 모든 것들이 담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라니를 자꾸 외우면 불망염지의 지혜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