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by Scrap 38

깨달음과 수행: 수행은 공덕 쌓고 지혜를 체득해야 완성 (by 양승규)

깨 달 음 과 수 행 “수행은 공덕 쌓고 지혜를 체득해야 완성” ‘깨달음과 수행’은 서로 불가분의 상관관계가 있다. 깨달음 없는 수행이나, 수행 없는 깨달음은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명제가 어떤 상호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교리적 논리적 설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해 ‘티벳불교’를 전공한 양승규 박사는 〈보리도등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근기에 따른 체계적 수행론’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을 보내왔다. 회를 거듭할 수록 뜨거워지고 있는 ‘깨달음과 수행’ 기획토론은 그 다섯번째로 양승규 박사의 주장을 싣는다.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이다. 깨달음을 성취함으로써 모든 번뇌(煩惱)와 소지(所知)의 장애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대승불교의 전통에서는 깨달..

밀교의 역사적 전개 (by 허일범)

밀교의 역사적 전개 인도, 티베트 등 모든 불교권에 걸친 밀교를 포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밀교의 역사적인 분류법이다. 이것은 밀교의 발생국인 인도의 밀교전개를 기본으로 한 것이지만 모든 밀교권에도 적용할 수 있고, 현대에는 가장 표준이 되는 분류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초기밀교란 인도에서 4세기로부터 6세기에 걸쳐 성립한, 다라니를 중심으로 하고 체계가 잡히지 않은 밀교로서, 일본에서 분류하는 잡밀에 해당한다. 다음 중기밀교란 7세기 경 새롭게 인도에서 성립한 ·등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밀교로서 당나라 시기의 중국을 통해서 일본에 전해진 것은 이 단계의 밀교이며 순밀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후기밀..

「요가 딴뜨라와 요기니 딴뜨라의 종합- 쌍뿌따 딴뜨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서평 (by 정성준)

「요가 딴뜨라와 요기니 딴뜨라의 종합- 쌍뿌따 딴뜨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서평 인도밀교의 전개는 동북아지역의 밀교와 달리 딴뜨라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불교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남겨진 불교의 딴뜨라 관련문헌들은 그 양도 방대하며 아직 대부분 연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불교사에 있어 딴뜨라가 지닌 위상과 연구가치는 세계적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고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인도 후기밀교와 관련한 연구자는 많지 않으며 특히 딴뜨라의 텍스트 연구는 그 난해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오로지 몇몇 안 되는 학자들만이 접근할 수 있다. 이용현교수의 딴뜨라에 대한 텍스트의 병행연구는 국제학계의 경쟁력을 가지고, 늘 관련 세계학자들의 관심대상이 되어왔다. 논문의 제목에서 보이듯 “요가 딴뜨라와 ..

보살의 서원 (by 달라이 라마)

보 살 의 서 원 제14대 달라이라마께서 강의하신 내용 보리심 발원하기 보리심을 발원하기 위한 서약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 ------------------------ 1. 혼탁해져가는 이 삶에서 서원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 2. 앞으로의 삶에서 어떻게 수행을 유지하고 강화시켜갈 것인가? ------------------------ 1. 혼탁해져가는 이 삶에서 서원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가? 1) 영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리심의 이익을 깊이 명상해야 합니다. ① 보리심만이 대승의 길로 들어가는 유일무이한 문입니다. ② 당신은 부처님의 자식이라고 불리워질 것입니다. ③ 당신은 아라한들의 능력도 뛰어넘을 것입니다. ④ 당신은 최고의 존경과 공양을 받는 분이 될 것입니다. ⑤ 당신은 광대한 공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