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밀교 20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1) 비밀승(Guhy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1) 비밀승(Guhya-yana) 밀교를 나타내는 용어로 비밀승을 들 수 있다. '비밀승'이란 바로 '진언의 교법'을 의미한다. 즉 진언으로 교설하고 삼밀의 법문으로써 甚深秘奧하다하여 '비밀승'이라 하였다.『대비로자성불신변가지경소』제9권을 보면, '略說法有四種 謂三乘及秘密乘'이라 하여 '비밀승'을 언급하고 있다. '秘密乘'은 산스크리트어로 'Guhya-Yana'라 하며, 'Guhya'는 '비밀'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비밀불교'에서 말하는 '비밀'과 어휘상의 유사성을 들어 '밀교'의 용어로 이해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비밀승'이란 말이 바로 밀교를 뜻하는 용어가 아닌가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엄연히 이것은 밀교의 한 용어일뿐,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2) 진언승(Mant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102) 진언승(Mantra-yana) 밀교를 나타내는 또다른 용어로 진언승이 있다. 진언승은 '진언의 교'라는 뜻으로 비밀어를 의미한다. 진언승은 범어로 'Mantrayana'라고 하는데, 비밀승과 마찬가지로 '진언'의 산스크리트어 'Mantra'와 '승'이라는 말의 'yana'를 합성하여 'Mantrayana'라 명명된 것이다. 범어 'Mantra'는 주·신주·밀주·밀언 등으로 한역되며 진실하여 거짓이 없는 말이라 하여 진어(眞語)라고도 한다. 진언승은 말 그대로 '진언으로 수행하는 사람 내지 사상, 수행방법을 총칭한 의미로서, 진언을 통해서 수행한다'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진언교법을 승하고 불지에 이르기 때문에 진언승이라 하..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중기·후기의 밀교에서는 금강승과 함께 구생승, 시륜승 등의 용어가 주로 등장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은 후기밀교라 일컬어지는 '무상유가밀교'에 나타나는 용어들이다. 구생승은 범어로 Sahaja-yana라고 하며, 인도 후기밀교에 일어난 것으로 힌두탄트리즘과 거의 비슷한 관념과 행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구생승의 교리와 실천이 성력숭배와 남녀합일의 성적 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지만, 반야와 방편의 교리가 중기의 순수밀교에 나타나는 지혜와 자비의 보리심 사상과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보리심 자체를 완전한 깨달음으로 보지 않는데서 더욱 발전된 밀교로 나..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6) 결 론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6) 결론이상으로 '밀교'에 해당하는 몇몇 용어들을 살펴보았지만, 어느 것 하나 밀교를 통칭하는 용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밀승'이란 말은 인도범어로 사용되지 않았고 단지 '비밀'에 해당하는 인도 산스크리트어 'Vajra'로 명명하여 쓰고 있을 뿐이며, '진언승'은 초·중기밀교에 나타난 용어이며, '금강승'은 중기에서 후기밀교에 걸쳐 사용된 용어이므로 어느 것이 바로 밀교를 가리키는 대표적 용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탄트라는 후기밀교의 무상유가밀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힌두교적 신앙과 성적 종교로 오해받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구생승·시륜승도 진언승이나 금강승에서 파생된 후기밀교의 일파 정도로 이해..

밀교의 올바른 이해 (by 허일범)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밀교의 올바른 이해허일범(진각대학교 교수) 밀교라는 개념의 재정립밀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이나 일본에 불과하며 그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쓰는 밀교라는 개념과는 다른 용어들을 쓰고 있다. 그것은 밀교를 대승불교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느냐, 아니면 대승불교와는 다른 별개의 사상체계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그차이가 있다. 이 점 각국의 학계에서도 용어에 대한 확실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밀교에 대한 확실한 개념이 확립되지도 않은 현단계에서 밀교라는 용어가 거부감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어만 보아도 내용을 바로 알듯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서양이나 일본의 개설서들이 독자들에게 준 영향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재로..

중암 스님의 '밀교의 성불 원리' 3판 출간....

중암스님의 저서 『밀교의 성불 원리』는 인도에서 티벳으로 이어진 탄트라의 수행체계와 핵심이 왜곡되지 않고 정통 전승의 가르침에 따라 명확하게 설명된 책입니다. 그러하기에 밀교의 깊은 가르침을 이해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필독 도서로 많은 분들께 추천을 해드렸으나 절판이 되어서 구입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제3판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에 기쁨을 감출 수 없습니다. 특히, 티벳불교의 정통적인 밀교수행이 그와는 거리가 먼 오염되고 왜곡된 방식으로 가르쳐지고 이해되고 있는 한국의 이 시대에 중암스님의 깊은 학식과 수행의 지혜가 녹아 있는 이 책이 많은 이들이 바른 탄트라 수행의 길을 가는데 등불이 되었으면 합니다.* 책 정보, 소개, 서평, 판매처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https://search..

천수경 이란 ? 천수경의 뜻과 핵심

- https://www.youtube.com/watch?v=alwRwPVDwZ0&t=905s   천수경(千手經)이란?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大陀羅尼經)」의 축약형 이름이 「천수경(千手經)」이다.  축약된 경 이름에서 ‘천수(千手)’는 천 개의 자비로운 눈으로 중생을 응시하고 천 개의 자비로운 손으로 중생을 제도하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전의 본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천수경」은 관세음보살에게 발원하고, 귀의하고, 찬탄, 참회해 성취하고자 염송하는 대다라니로서, 관세음보살의 무애대비심(無碍大悲心)이 잘 드러난 경전이다.  현재 우리나라 사찰에서 독송하고 있는 「천수경」은 이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

5불부족 / 오선정불 / 오방불 / 오지불 / 오지여래

* 5불부족(五佛部族 / Five Buddha Familes)광활한 우주와 그곳에 머무는 불보살님들의 거처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 만다라이다. 그러기에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만들어진 만다라에는 많은 부처님과 보살, 호법신장이 형상, 문양, 글자 등의 상징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칼라차크라 만다라 안에는 722분의 불보살과 호법신장들이 모셔져 있다. 금강계 만다라에도 이처럼 많은 불보살이 거주하는데 이를 다섯 부류, 즉....1) 불부(佛部 / Buddha Family) 2) 금강부(金剛部 / Vajra Family) 3) 보부(寶部 / Ratna Family) 4) 연화부(蓮華部 / Padma Family) 5) 갈마부(羯磨部 / Karma Family)로 구분한 것이 5불부족(五佛部族)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