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전체 글 = 412

원명스님의 화엄성중과 호국불교 이야기, 불상이 무기를 들고 싸우는 것이 아니다....

원명스님의 화엄성중과 호국불교 이야기 *화엄성중과 호국불교 오늘은 천수경을 독송할 때 왜 신중님들께 먼저 기도를 드리는지, 그리고 불교가 나라를 지켜주는 호국불교 사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이 “신중님은 누구신가요?”라고 질문하시는데요,신중님들은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실천하는 불자들을 보호하고 지키겠다고 맹세하신 분들입니다. 저희는 본격적으로 천수경을 독송하기 전에, 먼저 신중님들을 청해서 모시는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을 먼저 염송을 합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천수경은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수행이고 법회입니다.그래서 오방내외, 즉 온 우주의 모든 신중님들을 초청해 모시고, “이 천수경을 독송하는 동안, 그리고 이어지는 법회와 행사가 어떠한 마의 장해 없이 ..

새로운 라면 '꼼수면' 출시, 이명박의꼼수면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 발행일:2011/11/24* 수정일:2025/04/14 블로그의 글을 정리하다가 2011년도에 올려놓은 아래의 꼼수면 사진을 보고.....  chatgpt에게 "이명박의꼼수면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라고 물어 보았다. "이명박의 꼼수면"이라는 표현은 인터넷 커뮤니티나 유머 문화 속에서 등장한 패러디성 유행어입니다. 이 표현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이름과 "꼼수"라는 단어, 그리고 '면(麵)'—즉 국수, 라면 등의 음식 이름을 결합한 말장난입니다.✅ 정리하면:**"이명박의 꼼수면"**은정치 풍자 + 라면 패러디입니다.주로 '정치인의 얍삽한 전략(꼼수)'을 비꼬는 맥락에서 사용됩니다.라면 포장처럼 꾸며진 이미지에, 실제 라면이 아니라 '꼼수(비판적 의미)'가 들어있다는 식의 패러디로 자주 쓰입니다.📌 배..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1) 비밀승(Guhy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1) 비밀승(Guhya-yana) 밀교를 나타내는 용어로 비밀승을 들 수 있다. '비밀승'이란 바로 '진언의 교법'을 의미한다. 즉 진언으로 교설하고 삼밀의 법문으로써 甚深秘奧하다하여 '비밀승'이라 하였다.『대비로자성불신변가지경소』제9권을 보면, '略說法有四種 謂三乘及秘密乘'이라 하여 '비밀승'을 언급하고 있다. '秘密乘'은 산스크리트어로 'Guhya-Yana'라 하며, 'Guhya'는 '비밀'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비밀불교'에서 말하는 '비밀'과 어휘상의 유사성을 들어 '밀교'의 용어로 이해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비밀승'이란 말이 바로 밀교를 뜻하는 용어가 아닌가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엄연히 이것은 밀교의 한 용어일뿐,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2) 진언승(Mant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102) 진언승(Mantra-yana) 밀교를 나타내는 또다른 용어로 진언승이 있다. 진언승은 '진언의 교'라는 뜻으로 비밀어를 의미한다. 진언승은 범어로 'Mantrayana'라고 하는데, 비밀승과 마찬가지로 '진언'의 산스크리트어 'Mantra'와 '승'이라는 말의 'yana'를 합성하여 'Mantrayana'라 명명된 것이다. 범어 'Mantra'는 주·신주·밀주·밀언 등으로 한역되며 진실하여 거짓이 없는 말이라 하여 진어(眞語)라고도 한다. 진언승은 말 그대로 '진언으로 수행하는 사람 내지 사상, 수행방법을 총칭한 의미로서, 진언을 통해서 수행한다'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진언교법을 승하고 불지에 이르기 때문에 진언승이라 하..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3) 금강승(Vaj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103) 금강승(Vajra-yana) 비밀승이나 진언승 못지 않게 자주 쓰이는 밀교의 용어가 '금강승'이다. '금강승'은 밀교를 표현하는 산스크리트로서 가장 일반적이며 원전에도 존재하고 있다. '금강승'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후기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것으로 실재와 현상을 자기의 한 몸에 융합하는 즉신성불을 목표로 하며, 그 원리는 공과 자비의 일치, 즉 반야와 방편의 일치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 밀교는 금강삼밀의 업용을 말하여, 자타의 유정으로 묘락을 받게하는 교법이므로, 이를 대소승에 대하여 '금강승'이라 이름하며, 또는 '금강승교' '금강일승'이라고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자수용신(自受用身)이 설하는 진언비밀의 승교를 의미..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4) 탄트라(Tantr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4) 탄트라(Tantra) 서양에서는 밀교를 일반적으로 Esotericism이나 Tantrism으로 표현하고 있다. Esotericism은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다'는 의미를 뜻하는 데서 연유하여 명명되었다. 이는 비밀불교의 비밀스럽고 신비함에 비중을 둔 어휘로서 이는 '비밀승'으로 불리우는 Vajrayana에서, Tantrism은 'Tantra'라는 어휘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측된다. Esotericism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비밀승'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탄트라'(Tantra, Tantrism)에 대해서 언급토록 하겠다. 본래 탄트라는 고대 인도의 Veda에서 종교의식상 여러 가지의 비법(秘法)과 화제(火祭) 등을 행하였던 것으로,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5) 구생승(Shaja-yana)과 시륜승(Kalacakra-yana) 중기·후기의 밀교에서는 금강승과 함께 구생승, 시륜승 등의 용어가 주로 등장하고 있다. 대체로 이들은 후기밀교라 일컬어지는 '무상유가밀교'에 나타나는 용어들이다. 구생승은 범어로 Sahaja-yana라고 하며, 인도 후기밀교에 일어난 것으로 힌두탄트리즘과 거의 비슷한 관념과 행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구생승의 교리와 실천이 성력숭배와 남녀합일의 성적 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지만, 반야와 방편의 교리가 중기의 순수밀교에 나타나는 지혜와 자비의 보리심 사상과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보리심 자체를 완전한 깨달음으로 보지 않는데서 더욱 발전된 밀교로 나..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6) 결 론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6)  결론이상으로 '밀교'에 해당하는 몇몇 용어들을 살펴보았지만, 어느 것 하나 밀교를 통칭하는 용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밀승'이란 말은 인도범어로 사용되지 않았고 단지 '비밀'에 해당하는 인도 산스크리트어 'Vajra'로 명명하여 쓰고 있을 뿐이며, '진언승'은 초·중기밀교에 나타난 용어이며, '금강승'은 중기에서 후기밀교에 걸쳐 사용된 용어이므로 어느 것이 바로 밀교를 가리키는 대표적 용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탄트라는 후기밀교의 무상유가밀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힌두교적 신앙과 성적 종교로 오해받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구생승·시륜승도 진언승이나 금강승에서 파생된 후기밀교의 일파 정도로 이해..

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 (by 안성두)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안성두(pratipaksa@hanmail.net)::: 목 ......차 ::: 들어가는 말 삼예사 논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 삼예사 논쟁의 종교적 철학적 쟁점 티베트불교 내에서의 마하연의 유형론적 이해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불교사상사는 수행도의 기술에 있어 두 개의 상이한 이해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는 사마타(止)라고 불리는 마음의 적정을 위한 수행이고, 다른 하나는 비파사나(觀)라고 불리는 대상의 바른 관찰을 통해 사물의 무상, 고, 무아를 인식하는 수행방법이다. 이 두 개의 방식은 초기불교 이래 심해탈(心解脫)과 혜(慧)해탈로 분리되어 왔다. 양자는 슈미트하우젠의 표현을 빌리면 깨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