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전체 글 = 412

현관장엄론(Abhisamayalankara)에 대한 위키백과 사전의 개요

Abhisamayalankar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The Abhisamaya-alaṅkāra ("Ornament of/for Clear Realization[s]"), abbreviated AA, is one of five Sanskrit-languag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which Maitreya--a Buddha or bodhisattva (the point is somewhat controversial)--is said to have revealed to Asaṅga (northwest India, 4th century). Some scholars (Erich Frauw..

나란다 사원 전승의 인도인 17 대논사(탕카설명)

나란다 사원 전승의 인도인 17 대논사Seventeen great Indian panditas who were associated with Nalanda monastery.작성자: O_Sel(원명, http://osel.pe.kr)작성일: 2011/07/13 * 달라이 라마 존자님은 항상 티벳불교의 가르침들은 인도 나란다 사원의 맥을 잇고 있음을 강조하십니다. 특히 외국인 불자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 시에는 매 번 냠걀사원 본법당 안의 벽에 걸려있는 나란다 사원 전승의 논사들인 17분의 탕카들을 지목하시면서 이에 대한 언급 빼놓지 않으십니다. 본법당 뿐만 아니라 달라이 라마 존자님 접견실 안에도 대논사님들 한 분 한 분의 탕카가 모셔져 있는 것을 보면 티벳불교가 나란다 사원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얼..

밀교의 의미와 분류 (by 허일범)

밀교의 의미와 분류1. 밀교.진언종의 의미흔히 [밀교 密敎]란 어떤 특수한 종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불교 속의 한 흐름으로서, 즉 대승불교의 철저한 후계자로서 오히려 대승불교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밀교이다. 뒤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밀교가 힌두교 등 인도의 제종교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불교의 흐름 속에서 특수한 발전을 보아온 하나의 [비밀불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밀 密]이란 비밀을 의미한다. [비밀]이라는 말의 산스크리트어(梵語)는 구햐 guhya라는 말이 흔히 쓰이는데 그것을 번역하여 비밀, 또는 밀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밀교] 또는 [비밀불교]는 그 의미하는 바가 종교적 체험의 깊이를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밀교라든가 비밀불교라고 하는 것이..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 의 유사용어 (by 법경)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밀교」의 유사용어 '밀교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 못지 않게 '밀교를 뜻하는 용어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하는 문제도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다. '밀교'를 뜻하는 말이 범어로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것은 범어원전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밀교경전들은 범어 원전으로 남아 있지 않고, 티벳대장경과 한역대장경으로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인도불교 속의 비밀교'로 지칭되는「비밀불교」의 원래 용어는 찾아볼 수 없고, 한역 밀교경전 속에서 나타나는 유사 용어들을 통해 짐작해 보는 수 밖에 없다. 밀교의 용어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도불교 속의 비밀교'에서 뿐만 아니라 그 이후 동서로 파급된 밀교와 한역경전, 그리고 오늘날의 밀교관계 연구서에 나타나는 밀교에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에 대한 기존자료의 분석 (by 법경)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에 대한 기존자료의 분석 1) 정의에 있어서의 문제제기 밀교란 비밀불교의 준말로써 보통 현교(顯敎)와 대비하여 표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비밀불교란 진의(眞意)를 그대로 드러내어 밝히지 않는 비밀교(秘密敎)를 말하며, 언어문자로 분명하게 뜻을 밝히는 현로교(顯露敎)에 대비하여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밀대비에 의한 밀교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에서 행하여졌던 것으로, 이 정의가 밀교의 완전한 정의라고는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현밀이교론적 정의는 '인도불교 속의 비교(秘敎)', 즉 '인도의 밀교'를 그대로 나타내거나 포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밀교 정의는 인도밀교까지를 모두 포섭하지..

밀교경전의 재분류

밀교경전의 재분류 1 )밀교경전 분류에 대한 기존의견해 각지역에 따라 밀교라는 개념이 다르듯이 밀교경전의 분류법에도 차이가 있다. 물론 밀교경전의 분류는 후세사람들이 편의상 인위적으로 행한 것으로 거기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연구자들이나 수행자들에게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것은 밀교 경전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할 수가 있고 수행의 체계를 수립하는데 용이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인도나 티베트의 경우는 불교사 전반에 걸친 사상들을 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분류방법도 세분화되어 있으며 경전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소작 탄트라에서 무상요가탄트라까지 전체의 밀교경전을 총망라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중국에서는 밀교경전에 대한 분류를 행하지 않았다. 그것은 모든 불교경전이 그러했듯이 성..

중관학 강의: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양승규/중앙 승가대학교 강사  1.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티벳불교는 현교의 전통에서 불교논리학 · 반야학 · 중관학 · 아비달마 등의 불교교학을 승원에서 수학하는 방식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그 교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중관학이다. 티벳의 학승들에게 “당신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중관학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티벳불교는 중관학의 측면에서 모든 불교를 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관학파 중에서 티벳불교는 귀류歸謬논증중관학파를 계승한다. 이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근거로 현교와 밀교를 배우고 닦게 된다.  티벳불교가 중관학적인 바탕에서 현교를 섭수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 티벳에 불교를..

윤회와 탄트라 (by 조환기)

윤회와 탄트라글쓴이 : 조환기(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 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티벳의 링 린포체 왕사(王師)께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환생한 왕사의 사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불교의 토양인 인도에서는 윤회관(輪廻觀)이 모든 사상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다. 윤회는 고통스러운 존재들의 본모습을 여실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부처님도 윤회에 대해서는 종종 말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삶의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표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티벳에서 환생이 등장하게 된 것은 카르마 파(Karma pa)를 통해서이다. 티벳 카르마파의 흑모파의 스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