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 134

입보리행론 한글/영문/싼쓰끄리뜨 텍스트

* 한글 입보리 행론 - 한글 입보리 행론은 게시판에 아래와 같은 답글이 달려서 화일들은 내렸습니다 (2013/06/13). ---------------------------------------------------- 제목 : 게시에 대한 사항 안녕하세요. 담앤북스 출판사입니다. 불법홍포를 위해 노력하고 계신 법우님의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은 출판사의 사정에 따라 몇 년째 절판 상태였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하신 많은 분들이 절판된 책의 전문 혹은 일부를 인터넷에 게시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그동안 역자이신 청전 스님 역시 인터넷 등을 통한 전문이나 일부 게시에 대해 ‘불법홍포’를 위한 일이라 생각하고 특별한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3년 4월 26일 출판사와..

티베트 람림 강의 서울서 첫 개설

티베트불교의 람림강의가 서울 한국불교연구원에서 처음 선보인다. 티베트의 람림은 ‘도의 차제’ 곧,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의미하는 불교정수로 강사는 게셰 텐진 남카스님(동국대 경주캠퍼스 티베트장경연구소 연구초빙교수)이다. 오는 23일(금)부터 매월 2,4,5주 금요일에 개설되는 강의 제목은 ‘5대 달라이라마의 강해(講解)’이며, 강의는 티베트 원전인 의 한국어 번역본과 한국어 강좌로 전개된다. 책 은 티베트 불교에서 람림(깨달음에 이르는 차제)의 내용을 담고 있어,재가자 및 수행자와 겔룩의 스님들까지 수행 지침서로 애용되고 잇으며, 명상해야 할 대상들을 하나하나 상세히 밝히며 명상과 함께 출가심과 보리심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돼있다. 티벳어 원전에서 ‘잠__셸룽’은 문수보살의 입에서 나온 가르침이란 의미..

탄트라 수행의 특징: 신체 구성요소의 활용

탄트라 수행의 특징- 신체 구성요소의 활용 -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   I. 서언  II. 본존요가(本尊瑜伽)       1.  수트라(Sutra)와 탄트라(Tantra)의 구분 지표(指標)       2.  지혜(智慧)와 방편(方便)의 합일 III. 변화(變化)의 매개체(媒介體)      1. 기맥(氣脈)과 맥륜(脈輪)      2. 기(氣)           1) 기의 융해의 증후(證候)      3. 백색명점(白色明點)과 적색명점(赤色明點)      4. 뚬모(內熱) IV. 결어 I 서언    티벳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두 가지의 길(道)을 설하고 있다. 바라밀승(波羅蜜乘)과 금강승(金剛乘)이 그것이다. 여기서 ‘길(道)’ 이라는 ..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 1. 딴뜨라의 4종 분류 2. 4종 딴뜨라의 수행차제 3. 규햐사마자 딴뜨라의 수행체계 4. 맺음말 1. 딴뜨라의 4종 분류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끄리야, 2) 짜리야, 3) 요가, 4) 아눗따라요가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 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A.D. 1290-1364)이 티벳 대장경의 분류에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