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학 12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3) 금강승(Vaj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103) 금강승(Vajra-yana) 비밀승이나 진언승 못지 않게 자주 쓰이는 밀교의 용어가 '금강승'이다. '금강승'은 밀교를 표현하는 산스크리트로서 가장 일반적이며 원전에도 존재하고 있다. '금강승'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후기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것으로 실재와 현상을 자기의 한 몸에 융합하는 즉신성불을 목표로 하며, 그 원리는 공과 자비의 일치, 즉 반야와 방편의 일치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 밀교는 금강삼밀의 업용을 말하여, 자타의 유정으로 묘락을 받게하는 교법이므로, 이를 대소승에 대하여 '금강승'이라 이름하며, 또는 '금강승교' '금강일승'이라고도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자수용신(自受用身)이 설하는 진언비밀의 승교를 의미..

중관학 강의: 이제설(二諦說)(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8이제설 (二諦說)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불교에서는 진리를 세속제世俗諦와 승의제勝義諦 둘로 구분한다. 세속제는 세속의 진리이고, 승의제는 궁극적인 진리이다. 세속제는 시간과 공간 속에 있는 진리이고, 승의제는 시간과 공간 밖에 있는 진리이다. 따라서 세속제는 가변적이고 유동적이고, 승의제는 진리 그 자체이다. 이제를 통해 진리를 구분하는 것은 중관학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부파가 각기 다른 이제설을 정의하고 있고, 이 이제설을 근거로 실천과 결과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중관귀류논증파의 관점에서 이제설을 설명하고자 한다. 1. 이제설의 성립용수보살은 『중론』에서 불교의 진리관을 “세간의 세속제와 승의제다.”라고 하..

5불부족 / 오선정불 / 오방불 / 오지불 / 오지여래

* 5불부족(五佛部族 / Five Buddha Familes)광활한 우주와 그곳에 머무는 불보살님들의 거처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 만다라이다. 그러기에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만들어진 만다라에는 많은 부처님과 보살, 호법신장이 형상, 문양, 글자 등의 상징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칼라차크라 만다라 안에는 722분의 불보살과 호법신장들이 모셔져 있다. 금강계 만다라에도 이처럼 많은 불보살이 거주하는데 이를 다섯 부류, 즉....1) 불부(佛部 / Buddha Family) 2) 금강부(金剛部 / Vajra Family) 3) 보부(寶部 / Ratna Family) 4) 연화부(蓮華部 / Padma Family) 5) 갈마부(羯磨部 / Karma Family)로 구분한 것이 5불부족(五佛部族) ..

화엄경 약찬게(略纂偈) 해설

화엄경의 내용은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면서 법문을 듣고 깨달아가는 과정이다.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 약찬게大方廣佛華嚴經 龍樹菩薩略纂偈'화엄경 약찬게'는 [대방광불화엄경]을 용수보살이 약식으로 찬탄한 게송나무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南無華藏世界海 毘盧遮那眞法身화장세계 바다의 비로자나 진법신과현재설법노사나 석가모니제여래現在說法盧舍那 釋迦牟尼諸如來현재 법을 설하시는 노사나 부처님과 석가모니 부처님과 일체 모든 여래와 과거현재미래세 시방 일체제대성過去現在未來世 十方一切諸大聖과거, 현재, 미래세의 시방에 계신 일체 모든 대성(大聖)들을 찬탄하는 기도문이다. 근본화엄전법륜 해인삼매세력고根本華嚴轉法輪 海印三昧勢力故근본 화엄의 법륜을 굴리심은 해인삼매 다함 없는 힘 때문이도다. ​보현보살제대중 집금강신신중신普賢..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1-1-2. 지혜와 방편)

작성일: 2015년 3월 2일작성자: O_Sel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 1-1-2. 지혜와 방편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수행에 기반이 되는 핵심적인 교의는 공사상(空思想) 이다. 즉, 이들 두 승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공성을 깨달아 번뇌장과 소지장을 소멸시키고 무주처열반에 이르는 것이다. 이 때, 공성의 자각을 '지혜(智慧, prajna)'라 하고 이러한 지혜로 이끄는 수단을 '방편(方便, upaya)'이라 한다. 대승의 보살이 불과(佛果)를 성취하기 위해서 실천하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6바라밀 가운데 마지막 지혜바라밀은 모든 현상이 공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자각하는 '지혜'이고, 선행하는 보시 지계 인욕 등의 바라밀은 지혜로 인도하는 '방편'인 것이다. 예를..

선정과 참선법: 안색법문, 이성법문, 산란, 혼침....

修定과 參禪法. 비로자나불 칠지좌법 1. 쌍가부좌에 능하지 못한사람은 금강좌[오른다리를 왼쪽넙적다리에올림]혹은 여의좌[왼쪽다리를 오른쪽 넓적다리에 올림]를 한다. 2. 양손은 삼매인[오른손바닥이 위로 가게하고,왼손바닥위에 놓는다,양엄지손가락은 서로 마주 붙인다.]을 한다.3, 등의 척추는 곧게 세워서 동전을 포개듯 한다.[신체가 건강치 못한사람은 그 자연에 맡겨,오래하면 스스로 바르게된다.]4. 어깨는 평평하게 하여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5. 머리를 바르게 턱을 거둔다.[뒤쪽뇌가 약간 뒤로 향하게하고, 아래턱은 거두어서 좌우 대동맥을 압박한다.] 6. 혀는 위턱에댄다.[혀를 가벼히 저 치아에 침이 나온는 곳에붙인다]7. 양눈은 반은 감는다. 이외에 주의사항 1. 좌선할 때 허리띠등 몸을 속박하는 ..

관정 의식 (2): 4종 관정의 비교

관정 의식 (2): 4종 관정의  비교 글쓴이: O_Sel(원명, Ph. D. in Delhi Univ., http://osel.pe.kr)게시일: 2002/11/15수정일: 2005/10/22, 2012/02/24     일반적으로 무상요가(無上瑜伽) 딴뜨라에서는 제자들이 딴뜨라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만달라 안에서 4종관정(dBang bZhi)을 수여한다. 4종관정이란 보병(寶甁,Bum Pa) 관정, 비밀(秘密, gSang Ba) 관정, 반야지(般若智, She Rab Ye Shes) 관정, 언어(言語, Tsig) 관정을 말한다. 이 4종관정 중 첫 번째인 보병관정은 무상요가 딴뜨라의 생기차제를, 다음 세 관정은 원만차제를 수행 할 수 있는 권한을 제자들에게 부여해 준다.    반면에 깔라짜끄라 딴뜨라에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3/11/01수정일: 2004/11/18, 2012/02/13 4부 딴뜨라 가운데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는 하위 딴뜨라로 일컬어지며 이들의 수행의 차제는 유상요가(有相, Yoga with signs)와 무상요가(無相, Yoga without sings)로 나누어져 있다. 유상요가는 고요한 마음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존의 형상, 무드라(수인), 종자음 등 외적인 형상에 대해 명상을 하는 것이며, 무상요가는 본존, 이담 등의 궁극적 실체인 법성(tathata,眞如)에..

밀교의 의미와 분류 (by 허일범)

밀교의 의미와 분류1. 밀교.진언종의 의미흔히 [밀교 密敎]란 어떤 특수한 종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불교 속의 한 흐름으로서, 즉 대승불교의 철저한 후계자로서 오히려 대승불교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밀교이다. 뒤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밀교가 힌두교 등 인도의 제종교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불교의 흐름 속에서 특수한 발전을 보아온 하나의 [비밀불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밀 密]이란 비밀을 의미한다. [비밀]이라는 말의 산스크리트어(梵語)는 구햐 guhya라는 말이 흔히 쓰이는데 그것을 번역하여 비밀, 또는 밀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밀교] 또는 [비밀불교]는 그 의미하는 바가 종교적 체험의 깊이를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밀교라든가 비밀불교라고 하는 것이..

중관학파에 대하여,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중관학파에 대하여 1. 중관학파의 의미 2.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등의 비판반야공관에 입각한 부정논리 중도실상 연기 무아 무자성 공 등의 사상 3. 중관학파의 분류4. 중관학파(中觀學派)의 형성과 역사5. 중관학파의 학자들 초기 중관학자들중기 중관학자들 후기 중관학자들 중관학파 Madhyamika 에 대하여 > 1. 중관학파의 의미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 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 g 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 dhyamaka, M 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