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 134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1-1-5. 금강승의 특징)

> 1-1-5. 금강승의 특징 대승(大乘, Mahayana)불교라 일컬어지는 북방불교의 보살승(菩薩乘, Bodhisattvayana)은 바라밀승(波羅蜜乘, Pramitayana)과 금강승(金剛乘, Varayana) 으로 구분 된다. 바라밀승은 수트라(sutra) 경전들에 나타난 사상들을 바탕으로 해서 불과(佛果)에 이르는 길을 가르친다. 특히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에 나타난 ‘보살의 6바라밀 행’이 주요 수행을 이룬다. 반면에 금강승의 가르침은 탄트라(tantra) 경전들의 가르침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금강승의 가르침은 대부분의 바라밀승 수행법들을 포함 하고 있지만 그 가르침을 되풀이하기 보다는 바라밀승의 가르침을 보완하고, 바라밀승, 즉 수트라(sutra)에서는 설해지지 않은 금강승의..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1-1-4. 복덕자량과 지혜자량의 합일)

> 작성일: 2015년 3월1 6일 작성자: O_Sel 1-1-4. 복덕자량과 지혜자량의 합일 불과(佛果), 즉 수행한 인(因)으로 말미암아 도달하는 붓다의 지위에 이르기 위해서는 복덕자량과 지혜자량의 두 가지 인(因)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방편 수행을 통해 쌓은 복덕자량만으로는 불과를 이룰 수 없고, 공성의 자각을 통해 쌓은 지혜자량만으로도 불과의 성취는 불가능 하다. 불과(佛果)를 이루었다 함은 역사적 인물인 샤꺄무니 붓다(Shakyamuni Buddha)가 갖추었듯이 두 종류의 몸인 법신(法身)과 색신(色身)을 모두 구족한 상태를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이들 법신과 색신을 각각 별도로 성취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즉, 색신 성취의 인(因)이 되는 복덕자량을 아무리 많이 쌓아도 그 결과로서 색신만 ..

문수보살 예찬문

문수보살 예찬문 원명(http://osel.pe.kr, 2015.08.21)     스승이신 본존 문수사리께 절하옵니다. 두 장애의 구름에서 벗어난 지혜는 해와 같이 빛나고, 일체 법을 여실히 아시기에 당신의 가슴에 경전 지니셨습니다.  무지의 어둠으로 인한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윤회의 감옥에 갇힌 모든 중생들에게 하나 뿐인 자식같이 아끼는 자비심으로 육십 가지 말씀의 공덕 갖추어 설법하시니 천둥 같은 큰 소리로 번뇌의 잠 깨워 업의 쇠사슬 벗어나게 하십니다. 무지의 어둠을 밝히고 모든 고통의 싹을 끊는 지혜의 검 지니셨으며, 본래부터 청정하시고 십지 성취의 구경 공덕을 갖춘 최승보살의 몸, 백열두 가지 공덕 장엄하신, 제 마음의 어둠없애 주시는 문수사리께 예경 하옵니다.  옴 아라빠짜나 디디디디디.....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1-1-3. 방편자량과 지혜자량)

작성일: 2015년 3월 6일작성자: O_Sel   와 관정 받기 >>  1-1-3. 복덕자량과 지혜자량    자량(資糧, sambhara)은 자재와 식량을 뜻한다. 여기서의 자재와 식량은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 불교 수행의 기본이 되는 선근과 공덕을 말한다. 산스크리트어 삼바라(sambhara)는 필수품(necessaries), 자재(materials), 모음(bringing together , collecting), 준비(preparation)의 뜻으로, 먼 길을 떠나기 전에 자재와 양식을 모으고 준비하듯이 수행자가 완전한 깨달음(佛果)에 이르는 길을 걸어가기 위해 모으고 준비하는 필수품 즉 필수적인 자재와 양식으로서의 선근과 공덕을 의미한다.   자량에는 방편자량(方便資糧)과 지혜자량(智慧資糧)이 있..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1-1-2. 지혜와 방편)

작성일: 2015년 3월 2일작성자: O_Sel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 >> 1-1-2. 지혜와 방편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수행에 기반이 되는 핵심적인 교의는 공사상(空思想) 이다. 즉, 이들 두 승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공성을 깨달아 번뇌장과 소지장을 소멸시키고 무주처열반에 이르는 것이다. 이 때, 공성의 자각을 '지혜(智慧, prajna)'라 하고 이러한 지혜로 이끄는 수단을 '방편(方便, upaya)'이라 한다. 대승의 보살이 불과(佛果)를 성취하기 위해서 실천하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6바라밀 가운데 마지막 지혜바라밀은 모든 현상이 공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자각하는 '지혜'이고, 선행하는 보시 지계 인욕 등의 바라밀은 지혜로 인도하는 '방편'인 것이다. 예를..

칼라차크라 탄트라: 그 이해와 관정 받기(1-1-1. 바라밀승과 금강승)

작성일: 2015년 2월 28일 작성자: O_Sel > 1-1-1. 바라밀승과 금강승 불교의 전개 과정을 승(乘)의 측면에서 볼 때 대승불교의 보살승(菩薩乘, Bodhisattvayana)에는 바라밀승(波羅蜜乘, Paramitayana)과 금강승(金剛乘, Vajrayana)의 두 승이 있다. 바라밀승은 탐심과 집착을 소멸하는 길을 실천하는 승(乘)으로서 6바라밀인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완성을 통해 피안(彼岸, paramita)에 이르는 길(道)을 실천하고 있기에 바라밀승이라 한다. 반면 금강승은 6바라밀의 실천과 함께 욕망과 욕망의 대상을 활용해 불과(佛果)에 이르는 길을 따르는 승으로서 지혜자량인 공성에 대한 이해와 복덕자량인 본존요가(本尊瑜伽, Devatabhisamaya)를 실..

Mummified 200-year-old monk found in Mongolia in 'very deep meditation'

Mummified 200-year-old monk found in Mongolia in 'very deep meditation', Buddhist academic claims Preserved body was discovered in the lotus position, covered in animal hide, last week in the Songinokhairkhan district =============================================================================================================== A Buddhist academic has said a 200-year-old mummified monk discovere..

국보급 대장경을 우리에 선물한 달라이 라마

【1967년 국보급 티베트 대장경을 우리에게 선물한 달라이 라마】약 46년전 우리 나라 불교계를 놀라게 할 만한 일이 발생합니다. 바로 달라이 라마께서 티벳을 탈출할 때 함께 갖고 나 온 국보급 티베트 대장경 한 질(秩)이 인도에서 배편을 이용해 한국에 도착하게 됩니다.달라이 ...라마가 선물한 티베트 대장경은 세계에 4질 밖에 없던 것으로 하버드대학교에 한 질, 인도에 두 질, 일본엔 일부가 있었던 것으로 당시 언론들은 전했습니다.이 대장경은 가로 62cm 세로 16cm의 닥나무지(저지)에 앞뒤로 새긴 경전으로 경전의 전체 무게가 285kg에 달했습니다.달라이 라마께서 귀한 티베트 대장경을 우리 나라에 전하게 된 배경은 1966년 5월, 달라이 라마 특사 티베트 불교 유적지를 파악하기 위해 공주 마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