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 134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 1. 딴뜨라의 4종 분류 2. 4종 딴뜨라의 수행차제 3. 규햐사마자 딴뜨라의 수행체계 4. 맺음말 1. 딴뜨라의 4종 분류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끄리야, 2) 짜리야, 3) 요가, 4) 아눗따라요가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 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A.D. 1290-1364)이 티벳 대장경의 분류에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

관정 의식 (2): 4종 관정의 비교

관정 의식 (2): 4종 관정의  비교 글쓴이: O_Sel(원명, Ph. D. in Delhi Univ., http://osel.pe.kr)게시일: 2002/11/15수정일: 2005/10/22, 2012/02/24     일반적으로 무상요가(無上瑜伽) 딴뜨라에서는 제자들이 딴뜨라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만달라 안에서 4종관정(dBang bZhi)을 수여한다. 4종관정이란 보병(寶甁,Bum Pa) 관정, 비밀(秘密, gSang Ba) 관정, 반야지(般若智, She Rab Ye Shes) 관정, 언어(言語, Tsig) 관정을 말한다. 이 4종관정 중 첫 번째인 보병관정은 무상요가 딴뜨라의 생기차제를, 다음 세 관정은 원만차제를 수행 할 수 있는 권한을 제자들에게 부여해 준다.    반면에 깔라짜끄라 딴뜨라에서..

관정 의식 (1): 깔라짜끄라의 7종관정

관정 의식 (1): 깔라짜끄라의 7종관정 글쓴이: O_Sel(원명, Ph. 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2/10/03 수정일: 2005/10/22, 2012/02/20 딴뜨라를 수행하기 앞서 관정을 받는 것은 필수불가결 한 것이며, 이 글은 깔라짜끄라 딴뜨라의 관정을 위주로 하여 그 내용을 의식 진행 순서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개괄적으로 관정의식을 요약하기 위해 깔라짜끄라 본존과 만달라, 짜끄라와 종자음 등을 심상화 하는 명상법에 대한 설명은 제외 하였다. 이러한 명상법들과 깔라짜끄라의 7종 관정 부분을 제외하면 관정의식의 진행 과정이 다른 딴뜨라들의 관정의식과 공통이 되는 부분들이 대부분 이다. 그리고 깔라짜끄라 본존을 심상화 또는 관상 해야 하는 ..

「요가 딴뜨라와 요기니 딴뜨라의 종합- 쌍뿌따 딴뜨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서평 (by 정성준)

「요가 딴뜨라와 요기니 딴뜨라의 종합- 쌍뿌따 딴뜨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서평 인도밀교의 전개는 동북아지역의 밀교와 달리 딴뜨라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불교의 교학과 수행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남겨진 불교의 딴뜨라 관련문헌들은 그 양도 방대하며 아직 대부분 연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불교사에 있어 딴뜨라가 지닌 위상과 연구가치는 세계적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고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인도 후기밀교와 관련한 연구자는 많지 않으며 특히 딴뜨라의 텍스트 연구는 그 난해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오로지 몇몇 안 되는 학자들만이 접근할 수 있다. 이용현교수의 딴뜨라에 대한 텍스트의 병행연구는 국제학계의 경쟁력을 가지고, 늘 관련 세계학자들의 관심대상이 되어왔다. 논문의 제목에서 보이듯 “요가 딴뜨라와 ..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 게시일: 2003/11/01 수정일: 2004/11/18, 2012/02/13 4부 딴뜨라 가운데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는 하위 딴뜨라로 일컬어지며 이들의 수행의 차제는 유상요가(有相, Yoga with signs)와 무상요가(無相, Yoga without sings)로 나누어져 있다. 유상요가는 고요한 마음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존의 형상, 무드라(수인), 종자음 등 외적인 형상에 대해 명상을 하는 것이며, 무상요가는 본존, 이담 등의 궁극적 실체인 법성(tathata,眞如)에 ..

中, 도주중이던 티베트 승려 2명 사살

베이징=AP/뉴시스】문예성 기자 = 최근 잇단 승려 분신과 중국 공안의 유혈 진압으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공안이 티베트인 형제 승려 2명을 사살했다. 9일(현지시간) 미국의 지원을 받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반정부 시위에 참가한 이후 수배 중이던 티베트인 형제 승려 예써링쌍(40)과 예써쌍준(38)이 쓰촨성 루훠(爐霍) 지역의 은신처에서 공안당국에 발견돼 총을 맞고 사망했다..... 전체기사 = http://durl.me/sej8j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1/08/04 수정일: 2005/10/22, 2012/02/10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2)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3)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 딴뜨라(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경 제정이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