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 134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 의 유사용어 (by 법경)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밀교」의 유사용어 '밀교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 못지 않게 '밀교를 뜻하는 용어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하는 문제도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다. '밀교'를 뜻하는 말이 범어로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것은 범어원전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밀교경전들은 범어 원전으로 남아 있지 않고, 티벳대장경과 한역대장경으로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인도불교 속의 비밀교'로 지칭되는「비밀불교」의 원래 용어는 찾아볼 수 없고, 한역 밀교경전 속에서 나타나는 유사 용어들을 통해 짐작해 보는 수 밖에 없다. 밀교의 용어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도불교 속의 비밀교'에서 뿐만 아니라 그 이후 동서로 파급된 밀교와 한역경전, 그리고 오늘날의 밀교관계 연구서에 나타나는 밀교에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에 대한 기존자료의 분석 (by 법경)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에 대한 기존자료의 분석 1) 정의에 있어서의 문제제기 밀교란 비밀불교의 준말로써 보통 현교(顯敎)와 대비하여 표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비밀불교란 진의(眞意)를 그대로 드러내어 밝히지 않는 비밀교(秘密敎)를 말하며, 언어문자로 분명하게 뜻을 밝히는 현로교(顯露敎)에 대비하여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밀대비에 의한 밀교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에서 행하여졌던 것으로, 이 정의가 밀교의 완전한 정의라고는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현밀이교론적 정의는 '인도불교 속의 비교(秘敎)', 즉 '인도의 밀교'를 그대로 나타내거나 포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밀교 정의는 인도밀교까지를 모두 포섭하지..

밀교경전의 재분류

밀교경전의 재분류 1 )밀교경전 분류에 대한 기존의견해 각지역에 따라 밀교라는 개념이 다르듯이 밀교경전의 분류법에도 차이가 있다. 물론 밀교경전의 분류는 후세사람들이 편의상 인위적으로 행한 것으로 거기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연구자들이나 수행자들에게는 대단히 중요하다. 그것은 밀교 경전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할 수가 있고 수행의 체계를 수립하는데 용이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인도나 티베트의 경우는 불교사 전반에 걸친 사상들을 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분류방법도 세분화되어 있으며 경전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소작 탄트라에서 무상요가탄트라까지 전체의 밀교경전을 총망라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중국에서는 밀교경전에 대한 분류를 행하지 않았다. 그것은 모든 불교경전이 그러했듯이 성..

중관학 강의: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양승규/중앙 승가대학교 강사  1.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티벳불교는 현교의 전통에서 불교논리학 · 반야학 · 중관학 · 아비달마 등의 불교교학을 승원에서 수학하는 방식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그 교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중관학이다. 티벳의 학승들에게 “당신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중관학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티벳불교는 중관학의 측면에서 모든 불교를 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관학파 중에서 티벳불교는 귀류歸謬논증중관학파를 계승한다. 이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근거로 현교와 밀교를 배우고 닦게 된다.  티벳불교가 중관학적인 바탕에서 현교를 섭수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 티벳에 불교를..

윤회와 탄트라 (by 조환기)

윤회와 탄트라글쓴이 : 조환기(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 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티벳의 링 린포체 왕사(王師)께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환생한 왕사의 사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불교의 토양인 인도에서는 윤회관(輪廻觀)이 모든 사상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다. 윤회는 고통스러운 존재들의 본모습을 여실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부처님도 윤회에 대해서는 종종 말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삶의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표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티벳에서 환생이 등장하게 된 것은 카르마 파(Karma pa)를 통해서이다. 티벳 카르마파의 흑모파의 스승..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 (by 이지수)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글쓴이 : 이지수 (동국대 교수)출 처 : 월간『금강』 2545년 3월호인도의 이해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티벳 불교)」앞에서 말했듯이 현대 인도의 불교 부활에 있어서 마하보디 협회와 암베드까르의 신불교운동과 더불어 티벳 망명민들의 불교가 갖는 역할도 적지 않다. A.D 7세기, 송첸감뽀 왕의 불교귀의와 그리고 인도의 샨따락쉬따(寂護)의 인도 방문과 더불어 시작된 티벳의 불교는 오늘날까지 천삼백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중국의 선불교, 남방의 테라와다 불교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불교문화를 형성했다. 경전들이 학승들(티벳인과 인도인)에 의해 다른 시대에 도입됨에 따라 여러 집단들이 서로 독립된 조직으로 자라났고 그 결과 티벳불교는 네 개의 주요 교파로 갈라졌다. 인도의 밀교수행자 빠..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by 이태승)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 출 처 : 불교신문 연재 "불교사 100장면" 가운데 티베트 불교 부분. 삼예의 종론티베트에 불교가 도입된 것은 8세기말경의 일로, 이는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기원 1세기경과 비교해 보면 대략 7백년 정도 이후의 일이 된다. 그리고 지리적 여건상 티베트는 인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아울러 중국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티베트에서의 불교 도입도 또한 인도와 중국의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이러한 관련이 첨예한 대립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사건이 티베트의 삼예(bSam yas) 사원에서 거행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와 대론으로 소위 "삼예의 宗論"으로 알려진 御前論爭이다. 티베트의 불교 전래초기에 거행된 이 논쟁을 계기로 티베..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 (by 김 무생)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요즈음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이라는 진언이 방송매체를 타고나서 세인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심경을 즉시적으로 표현한 말을 가리킨다. 사람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그것을 표현한다. 진언은 바로 상징적인 말, 즉 상징어인 것이다. 불교에서는 수행이 깊은 사람의 깨달음을 상징적인 말로써 표현한 많은 진언이 있다. 상징어는 그 속에 많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진언은 깨달음의 심경 등, 팔만사천 경전의 의미를 축약적으로 담고 있다. 그래서 다라니(摠持)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진언을 염송(외움)함으로써 마음의 안정(선정)을 얻게 되고, 진언이 담고 있는 깨달음..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글쓴이 : 양승규 (철학 박사 ; 동국대 강사)출 처 : 월간 『붓다』 10월호 (통권 제 152호)오랫동안 달라이 라마는 겔룩빠(dGe lugs pa)와 티베트 불교를 대표하는 라마이면서 동시에 티베트를 통치하는 최고지도자였다. 출가수행자가 정치와 종교를 함께 책임지는 것은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것일지도 모르지만 이 둘을 함께 수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치는 가장 세속적인 것이고, 종교는 세속을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라를 잃은 현재와 같은 티베트의 상황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쓰는 정치가와 불교수행자로서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충실히 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올바른 방식을 통해 티베트 독..

달라이 라마, 그는 누구인가? (by 김충현)

14대 달라이 라마 "텐진갸쵸" 1989년 노벨 평화상은 티베트의 법왕, 제14대 달라이 라마인 텐진 갸초에게 주어졌다. 그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티베트가 겪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삶과 조국의 실정, 그리고 비폭력과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경건함이라는 커다란 메시지를 자서전 속에 담아내고 있다. 1935년 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티베트 불교의 전통에 따라 아주 어린 나이에 선대 달라이 라마의 화신으로 인정받아 이때부터 특별한 삶을 살게 된다. 티베트가 중국의 침략을 받은 해, 열 다섯의 나이로 그는 통치자로서 전권을 위임받고, 티베트의 주권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1959년 결국 인도로 망명한다. 이후 반세기에 가까운 그의 망명생활은 자유와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