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의 수행 체계 / 무상요가 탄트라 수행 체계 핵심 강의 https://youtu.be/SXRyjTn13nk -------------- ------------------ ------------------ --------------- ------------------ ----------------- -------------------- ------------------- ------------------------ -------------------- -----------------------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7.31
밀교의 수행체계 제6강: 원만차제/구경차제 요가행법 - https://youtu.be/s7cPIPeikXU 강의 제6차: 2023.06.22 내 용: Ⅵ. 원만차제(圓滿次第) 요가행법 1. 신적(身寂) 2. 어적(語寂) 3. 의적(意寂 4. 환신(幻身) 5. 정광명(淸靜光明) 6. 합일(合一). - 무상요가 탄트라의 원만차제는 다음의 6단계인 1) 신적(身寂), 2) 어적(語寂, 3) 의적(意寂), 4) 환신(幻身), 5) 정광명(淨光明)과 6) 합일(合一)로 이루어져있다. 1) 신적(身寂) - 수행자는 요가행법을 통해 기(氣)의 일부를 중앙 기맥에 유입(流入), 재류(在留), 융해(融解) 시킨다. 이 과정은 생기차제에서와 같이 단지 심상화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다. 신적(身寂)차제는 원만차제의 단계임으로 중앙기맥에서 기의 융해가 실제로 일어난다. 중앙기..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6.29
본존요가 '종자자' 심상화 방법, '훔'자에서 '본존'의 생기(生起) - https://youtu.be/s4dh50Un6uk 약 40분 가량의 금강살타 성취법 심상화 차제에서 일부분을 편집한 내용 입니다. 전체적인 영상은 아래의 링크에서 시청 하실 수 있습니다. - https://cafe.daum.net/roongda/iowc/1 _()_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6.05
밀교의 수행 체계 제5강: 생기차제 요가행법(붓다의 삼신 성취) https://youtu.be/2LwuQ7VPQpw 강의 제5차: 2023.05.18 내 용: Ⅴ. 생기차제(生起次第) 요가행법 1. 붓다의 3신 증득 - 탄트라 수행의 요지는 佛果(불과)를 이루기 위해 일반적인 죽음, 중음, 환생의 상태를 정화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며, 생기차제의 방편 수행은 이 세 가지 '일반적인 상태'를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 단계에서 수행자들은 자신의 심상화 능력과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본존요가(本尊瑜伽)를 수련한다. 일반적으로 생기차제 단계에서 심상화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사다나(sadhana)’라고 한다. ‘성취 수단’으로 번역되는 이 사다나는 특정 목표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탄트라 용어이다. - 사다나에는 만트라 암송, 본존 신체의 부분적 심상화와 세속적인 .. 티벳 불교와 문화.... 2023.05.22
밀교의 수행 체계 제4강: 변화의 매개체 (기, 기맥, 차크라, 명점) https://youtu.be/YRjUXFkpY9g 강의 제4차: 2023.05.11 내 용: Ⅳ. 변화의 매개체 1. 기맥(氣脈, Nadi)과 맥륜(脈輪, Cakra) 2. 기(氣, Vayu). 3. 명점(明點, Bindu) 4. 내열요가(內熱瑜伽, Candali) 1. 기맥(氣脈, Nadi)과 맥륜(脈輪, Cakra) - 기맥(氣脈)이란 생명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수행자의 마음속에 다양한 개념들을 떠오르게 하는 기가 지나다니는 마치 혈관과 같은 미세한 통로이다. 탄트라의 생리학에 의하면 수많은 기맥이 있는데 대체로 72,000개라고 하나 또한 셀 수 없이 많다고도 한다. 그런데 이마 중앙부에서 정수리를 거쳐 척추를 타고 내려와 성기 끝에 나란히 이르는 ‘세 가지 주요 기맥’들은 탄트라 수행에서 가장 ..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5.14
밀교의 수행체계 제3강: 티벳불교의 4종 탄트라와 4대 학파 https://youtu.be/nsD4cyaTZik 강의 제3차: 2023.05.04 내 용: Ⅱ. 4종 탄트라와 Ⅲ. 티벳불교 4대학파의 주요 수행법 Ⅱ. 4종 탄트라 1. 소작 탄트라(所作, Kriyatantra) 2. 행 탄트라(行, Caryatantra) 3. 요가 탄트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 -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탄트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탄트라 경전들을 1) 소작 탄트라(所作), 2) 행 탄트라(行), 3) 요가 탄트라(兪伽), 4) 무상요가 탄트라(無上兪伽)로 분류한 '탄트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5.14
밀교의 수행체계 제2강: 탄트라 수행 입문 https://youtu.be/kgp_iUDNwmc 강의 제2차: 2023.04.27 제 목: I. 탄트라(Tantra, 密敎) 수행 입문 1. 수트라(Sutra, 顯)와 탄트라(Tantra, 密)의 공통과정 2. 본존요가(本尊瑜伽, Devatabhisamaya) 3. 관정의식(灌頂儀式, Abhiseka) 1. 수트라(Sutra, 顯)와 탄트라(Tantra, 密)의 공통과정 - 삼종요도(三種要道): 수행의 핵심이 되는 세 가지 법으로 ‘출리심’, ‘보리심’, ‘공성’을 말한다. 2. 본존요가(本尊瑜伽, Devatabhisamaya) - 본존요가는 탄트라 특유의 방편 수행이며, 이 방편 수행을 통해 붓다의 색신(色神)을 매우 빨리 성취할 수 있다. - 본존요가는 ‘지혜’와 ‘방편’을 하나로 결합하는 수행이..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5.14
밀교의 수행체계 제1강: 탄트라 수행의 특징 - https://youtu.be/xoYwLDBN3Vg 강의 제1차: 2023.04.20 내 용: 탄트라(Tantra, 密敎) 수행의 일반적 특징소개 I. 탄트라 수행의 입문 1. 수트라(Sutra, 顯)와 탄트라(Tantra, 密)의 공통과정 2. 본존요가(本尊瑜伽) 3. 관정의식(灌頂儀式) II. 4종 탄트라 1. 소작 탄트라(所作) 2. 행 탄트라(行) 3. 요가 탄트라(兪伽) 4. 무상요가 탄트라(無上兪伽) III. 티벳불교 4대학파의 주요 수행법 1. 게룩빠(dGe Lugs Pa) 2. 까규빠(bKa' brGyud Pa) 3. 사꺄빠(Sa sKya Pa) 4. 닝마빠(rNying Ma Pa) Ⅳ. 변화의 매개체 1. 기맥(氣脈과 맥륜(脈輪) 2. 기(氣) 3. 명점(明點) 4. 내열요가(內熱瑜伽..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3.05.14
5불부족 / 오선정불 / 오방불 / 오지불 / 오지여래 * 5불부족(五佛部族 / Five Buddha Familes) 광활한 우주와 그곳에 머무는 불보살님들의 거처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 만다라이다. 그러기에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만들어진 만다라에는 많은 부처님과 보살, 호법신장이 형상, 문양, 글자 등의 상징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칼라차크라 만다라 안에는 722분의 불보살과 호법신장들이 모셔져 있다. 금강계 만다라에도 이처럼 많은 불보살이 거주하는데 이를 다섯 부류, 즉.... 1) 불부(佛部 / Buddha Family) 2) 금강부(金剛部 / Vajra Family) 3) 보부(寶部 / Ratna Family) 4) 연화부(蓮華部 / Padma Family) 5) 갈마부(羯磨部 / Karma Family)로 구분한 것이 5불부족(五佛部族..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22.01.04
사후 툭담에든 티벳 노스님 >1959년 달라이라마와 티벳스님들이 인도로 망명한 이후 현재까지 50여 분이 아래 기사 내용과 같은 툭담에 들어 열반하셨습니다.아래는 2020년12월 22일 현대불교에 실린 기사 내용의 일부입니다.----------------티베트 불교에서 사후삼매는 ‘툭담’이 라고 불리며 ‘마음이 삼매에 들었다’는 뜻이다. 육신은 의학적으로 사망선고를 받았으나 수행자의 의식이 아직 몸 안에 남아 깊은 삼매에 들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경우 시신에는 사후 경직, 부패 등의 사망 징후가 보이지 않고 며칠 길게는 몇 주 동안 어떠한 보존 처리 없이 생전과 동일한 모습을 유지한다. 특별한 경우엔 시신의 크기가 신생아 크기로 줄어드는 경우도 보고된다.다르걜 스님이 입적한 남인도의 간대사원은 현재 평균 20도 이상의 온도가 .. 티벳 불교와 문화..../기사, 홍보 202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