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트라 수행의 요지는 佛果(불과)를 이루기 위해 일반적인 죽음, 중음, 환생의 상태를 정화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며, 생기차제의 방편 수행은 이 세 가지 '일반적인 상태'를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 단계에서 수행자들은 자신의 심상화 능력과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본존요가(本尊瑜伽)를 수련한다. 일반적으로 생기차제 단계에서 심상화하는 기술이나 방법을 ‘사다나(sadhana)’라고 한다. ‘성취 수단’으로 번역되는 이 사다나는 특정 목표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탄트라 용어이다.
- 사다나에는 만트라 암송, 본존 신체의 부분적 심상화와 세속적인 신, 구, 의를 붓다의 신, 구, 의로 변화시키는 방법들이 포함되어 있다. 무상요가 탄트라의 생기차제 사다나는 만다라를 심상화하고 그 중앙에 자신이 만다라의 본존으로 현현하는 것을 말한다.
- 본 강의에서는 구햐사마자 탄트라의 생기차제 사다나인 ‘붓다의 3신 증득’을 예를 들어 생기차제의 요가행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