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탐구 13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by 김선정)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출처 : 달마넷 = 김선정교수님의 불교미술 칼럼중에서]김선정홍익대학교 동양학과 졸업인간문화재 14 호 이만봉스님 문하에서 한국탱화달라이라마 전속화가인 스님, 밀교대학 미술학 박사인 스님문하에서 밀교미술 수업현재 으로 들을 키우고 있음 지난 10 월 말에 나의 스승이신 바쿨라 린포체께서 인도에서 입적하셨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린포체는 내 지혜가 허락하는 가치의 척도로는 이 시대 최고의 성인 중에 한분이시고 마지막 생존했던 국제 불교사의 증인이셨다. 그분은 히말라야의 불교왕국 라닥의 왕자로 태어나서 16 나한인 바쿨라 아라한의 환생으로 밝혀져 5 살에 왕실을 떠나 승려가 되었다. 근대에서 현대로 전환하는 역사의 소용돌이를 거치며 비구승의 신분..

행동하는 불교지성, 월폴라 라훌라 스님....

행동하는 불교지성, 월폴라 라훌라 스님(Walpola Rahula, 1907-1997)  1. 들어가는 말  월폴라 라훌라(Walpola Rahula, 1907-1997) 박사는 스리랑카 출신의 승려였다. 그는 남방 상좌부의 비구 신분으로서 학문과 실천을 겸비했던 이 시대 불교 지성의 대표자였다. 그는 붓다의 가르침에 정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가르침을 전하기 위한 교육과 포교에 일생을 바친 우리 시대의 큰 스승이었다.  또한 라훌라 스님은 그가 배워 알고 있는 붓다의 교설에 위배되거나 장애가 되는 것이라면, 승단 내부에 속한 일이든, 국가의 정치적인 문제이든 가리지 않고, 그것을 제거하기 위해 직접 투쟁에 앞장섰던 행동가이기도 했다.  월폴라 라훌라 스님은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석학 혹은 학승으로 부각되..

부처님 몸에서 나왔다는 진신사리 갯수 몇개나 되죠?

불교는 이적이나 기적이나 현실그대로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것들에 일체 집착을 못하게 하는 종교입니다 사리라는 것도 인간의 육체를 갖인자가 수행을 깊이하면서 육바라밀 여섯가지 공덕(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를 성취하고 계정혜 삼학을 훈습 하여서 생겨지는 것인데 부처님께서는 이미 마음을 크게 깨달으신 경지에서 그사리가 부수적으로 생겨지게 되는 스님들의 육바라밀과 계정혜에대한 정신적인 것보다 눈에 보이는 사리에만 집착할것을 우려해서 내가 사파세계 수명을 다한 후에 나를 다비(화장) 하고 나면은 팔곡사두(우리표현으로 8말4되)의 사리가 나오지만 그사리가 갖인 의미보다 그져 눈에 보여지는 물질로서 사리에대한 욕심으로 국가간에 전쟁가지 이를것에 대비하시어 각나라마다 갖어가게될 양을 미리 분배를 해놓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