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탐구 12

중관학 강의: 인무아人無我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인 무 아 (人無我)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중생들이 끝없이 윤회하는 것은 업을 짓고, 업에 대한 과보를 받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이 연속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우리들은 업을 짓는 주체가 있고, 업의 과보를 받는 주체가 있다고 생각한다. 선업이든 악업이든 업을 지으면 과보가 생길 때까지 업력이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담고 있는 주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업과는 한 생 안에서 일어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내생 또는 몇 생 후에 그 과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업력은 몇 생에 걸쳐 동일한 주체에 연속적으로 계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일한 주체가 존재해야 하고 이것이 곧 자아..

중관학 강의: 법무아法無我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수정일: 2025/04/09)법무아 (法無我) 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사람을 시설하는 토대인 오온五蘊, 지地 등의 육계六界, 눈 등의 육처六處 등이 법이다. 이러한 법이 실체로 성립하지 않는 것이 법무아다. 법무아를 결택하는 방식에는 본질적인 측면과 발생적인 측면에서 법의 무아를 확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전자는 주로 같은 것과 다른 것의 인因으로 설명하고, 후자는 주로 사구四句의 발생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법무아를 논증하는 토대는 제법이 연기緣起한다는 연기의 인이다. 1.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법무아 유위법은 인과因果의 작용이 일어나는 법이고, 형색形色․인식認識․불상응행不相應行 셋이 있다. 유위법을 같은 것과 다른 것의 인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 비밀집회 탄트라)의 수행차제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1. 딴뜨라의 4종 분류2. 4종 딴뜨라의 수행차제3. 규햐사마자 딴뜨라의 수행체계4. 맺음말 1. 딴뜨라의 4종 분류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끄리야, 2) 짜리야, 3) 요가, 4) 아눗따라요가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 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A.D. 1290-1364)이 티벳 대장경의 분류에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금..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3/11/01수정일: 2004/11/18, 2012/02/13 4부 딴뜨라 가운데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는 하위 딴뜨라로 일컬어지며 이들의 수행의 차제는 유상요가(有相, Yoga with signs)와 무상요가(無相, Yoga without sings)로 나누어져 있다. 유상요가는 고요한 마음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존의 형상, 무드라(수인), 종자음 등 외적인 형상에 대해 명상을 하는 것이며, 무상요가는 본존, 이담 등의 궁극적 실체인 법성(tathata,眞如)에..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2)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3)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 딴뜨라(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Bu sTon, A. D. 1290-1364)이 그의 저서에서 '십만딴뜨라부목록'과 '뗀규르 목록'을 작성하는데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용되..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차이: 색신의 성취를 위한 본존요가 수행

글쓴이: O_Sel(Ph. D. in Delhi Univ., http://osel.pe.k)작성일: 2001/09/04수정일: 2011/12/17 광대한 불교경전의 집성은 일반적으로 쑤뜨라(Sutra)와 딴뜨라(Tantra)라는 기본적인 두 형태로 구분되어 진다.[주1] 이 두 부류의 경전 중 특히 수뜨라 경전인 반야경에 의지하며, 보디쌋뜨와(Bodhisattva, 菩薩)의 육바라밀 수행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점차적으로 성취해 나가는 승(乘)을 바라밀승이라 하고, 육바라밀의 수행과 더불어 딴뜨라의 경전에서 가르치는 다양한 방편수행을 기반으로 붓다의 경지를 바라밀승보다 빠른 기간 내에 이루어 나가는 승을 금강승이라 한다. 바라밀승과 금강승의[주2] 교리나 수행체계는 모두 붓다의 교설..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글쓴이 : 양승규 (철학 박사 ; 동국대 강사)출 처 : 월간 『붓다』 10월호 (통권 제 152호)오랫동안 달라이 라마는 겔룩빠(dGe lugs pa)와 티베트 불교를 대표하는 라마이면서 동시에 티베트를 통치하는 최고지도자였다. 출가수행자가 정치와 종교를 함께 책임지는 것은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것일지도 모르지만 이 둘을 함께 수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치는 가장 세속적인 것이고, 종교는 세속을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라를 잃은 현재와 같은 티베트의 상황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쓰는 정치가와 불교수행자로서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충실히 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올바른 방식을 통해 티베트 독..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by 김선정)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출처 : 달마넷 = 김선정교수님의 불교미술 칼럼중에서]김선정홍익대학교 동양학과 졸업인간문화재 14 호 이만봉스님 문하에서 한국탱화달라이라마 전속화가인 스님, 밀교대학 미술학 박사인 스님문하에서 밀교미술 수업현재 으로 들을 키우고 있음 지난 10 월 말에 나의 스승이신 바쿨라 린포체께서 인도에서 입적하셨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린포체는 내 지혜가 허락하는 가치의 척도로는 이 시대 최고의 성인 중에 한분이시고 마지막 생존했던 국제 불교사의 증인이셨다. 그분은 히말라야의 불교왕국 라닥의 왕자로 태어나서 16 나한인 바쿨라 아라한의 환생으로 밝혀져 5 살에 왕실을 떠나 승려가 되었다. 근대에서 현대로 전환하는 역사의 소용돌이를 거치며 비구승의 신분..

계(戒)와 율(律)의 차이

계(戒)와 율(律)의 차이 계, 선행 이끌려는 자발적 도덕 규범율, 승가질서 유지 위한 강제적 규칙 2007.01.17 09:53 입력 발행호수 : 885 호 / 발행일 : 2007-01-17 법보신문: http://beopbo.com/news/view.html?category=171&no=44779&section=93 “계율이란 말을 듣기만 해도 왠지 숨이 막혀요. 이것도 하지 마라, 저것도 하지 마라. 그럼 뭘 하면서 살라는 거예요?”주변에서 심심찮게 들려오는 불평이다. 이 불평 속에는 계율이란 출가수행자들이나 지키면 그만이지, 왜 우리 같은 재가불자까지 그 속박 밑에 있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이 잠재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즉 ‘계율=출가수행자의 율’을 동일시하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엄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