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역사 6

밀교의 올바른 이해 (by 허일범)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밀교의 올바른 이해허일범(진각대학교 교수) 밀교라는 개념의 재정립밀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이나 일본에 불과하며 그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쓰는 밀교라는 개념과는 다른 용어들을 쓰고 있다. 그것은 밀교를 대승불교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느냐, 아니면 대승불교와는 다른 별개의 사상체계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그차이가 있다. 이 점 각국의 학계에서도 용어에 대한 확실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밀교에 대한 확실한 개념이 확립되지도 않은 현단계에서 밀교라는 용어가 거부감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어만 보아도 내용을 바로 알듯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서양이나 일본의 개설서들이 독자들에게 준 영향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재로..

밀교의 역사적 전개 (by 허일범)

밀교의 역사적 전개 인도, 티베트 등 모든 불교권에 걸친 밀교를 포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밀교의 역사적인 분류법이다. 이것은 밀교의 발생국인 인도의 밀교전개를 기본으로 한 것이지만 모든 밀교권에도 적용할 수 있고, 현대에는 가장 표준이 되는 분류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초기밀교란 인도에서 4세기로부터 6세기에 걸쳐 성립한, 다라니를 중심으로 하고 체계가 잡히지 않은 밀교로서, 일본에서 분류하는 잡밀에 해당한다. 다음 중기밀교란 7세기 경 새롭게 인도에서 성립한 대일경>·금강정경>등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밀교로서 당나라 시기의 중국을 통해서 일본에 전해진 것은 이 단계의 밀교이며 순밀이 여기에 해당한다. ..

밀교의 의미와 분류 (by 허일범)

밀교의 의미와 분류1. 밀교.진언종의 의미흔히 [밀교 密敎]란 어떤 특수한 종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불교 속의 한 흐름으로서, 즉 대승불교의 철저한 후계자로서 오히려 대승불교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밀교이다. 뒤에 다시 언급하겠지만, 밀교가 힌두교 등 인도의 제종교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불교의 흐름 속에서 특수한 발전을 보아온 하나의 [비밀불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밀 密]이란 비밀을 의미한다. [비밀]이라는 말의 산스크리트어(梵語)는 구햐 guhya라는 말이 흔히 쓰이는데 그것을 번역하여 비밀, 또는 밀이라고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밀교] 또는 [비밀불교]는 그 의미하는 바가 종교적 체험의 깊이를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밀교라든가 비밀불교라고 하는 것이..

중관학 강의: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9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양승규/중앙 승가대학교 강사 1. 중관학의 성립과 전개 티벳불교는 현교의 전통에서 불교논리학 · 반야학 · 중관학 · 아비달마 등의 불교교학을 승원에서 수학하는 방식으로 전승하고 있지만, 그 교학의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중관학이다. 티벳의 학승들에게 “당신의 전공분야는 무엇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대부분 “중관학입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티벳불교는 중관학의 측면에서 모든 불교를 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관학파 중에서 티벳불교는 귀류歸謬논증중관학파를 계승한다. 이 귀류논증중관학파의 교학을 근거로 현교와 밀교를 배우고 닦게 된다. 티벳불교가 중관학적인 바탕에서 현교를 섭수할 수 있었던 것은 일차적으로 티벳에 불교를..

한국 불교사 연대표

한국불교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 가시면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300.htm상세히 보실 수 있고요.참고로 한국불교사 연표와 불교가 한국에 처음 전래된 고구려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불교역사를 올립니다. 이후 고려,조선, 근대, 현대는 위의 주소로 들어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모두 올려 드리지 못합니다. * 한국불교사 연표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