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논문 14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1) 비밀승(Guhy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1) 비밀승(Guhya-yana) 밀교를 나타내는 용어로 비밀승을 들 수 있다. '비밀승'이란 바로 '진언의 교법'을 의미한다. 즉 진언으로 교설하고 삼밀의 법문으로써 甚深秘奧하다하여 '비밀승'이라 하였다.『대비로자성불신변가지경소』제9권을 보면, '略說法有四種 謂三乘及秘密乘'이라 하여 '비밀승'을 언급하고 있다. '秘密乘'은 산스크리트어로 'Guhya-Yana'라 하며, 'Guhya'는 '비밀'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비밀불교'에서 말하는 '비밀'과 어휘상의 유사성을 들어 '밀교'의 용어로 이해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비밀승'이란 말이 바로 밀교를 뜻하는 용어가 아닌가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엄연히 이것은 밀교의 한 용어일뿐,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2) 진언승(Mantra-yan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102) 진언승(Mantra-yana) 밀교를 나타내는 또다른 용어로 진언승이 있다. 진언승은 '진언의 교'라는 뜻으로 비밀어를 의미한다. 진언승은 범어로 'Mantrayana'라고 하는데, 비밀승과 마찬가지로 '진언'의 산스크리트어 'Mantra'와 '승'이라는 말의 'yana'를 합성하여 'Mantrayana'라 명명된 것이다. 범어 'Mantra'는 주·신주·밀주·밀언 등으로 한역되며 진실하여 거짓이 없는 말이라 하여 진어(眞語)라고도 한다. 진언승은 말 그대로 '진언으로 수행하는 사람 내지 사상, 수행방법을 총칭한 의미로서, 진언을 통해서 수행한다'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진언교법을 승하고 불지에 이르기 때문에 진언승이라 하..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4) 탄트라(Tantra)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4) 탄트라(Tantra) 서양에서는 밀교를 일반적으로 Esotericism이나 Tantrism으로 표현하고 있다. Esotericism은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다'는 의미를 뜻하는 데서 연유하여 명명되었다. 이는 비밀불교의 비밀스럽고 신비함에 비중을 둔 어휘로서 이는 '비밀승'으로 불리우는 Vajrayana에서, Tantrism은 'Tantra'라는 어휘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측된다. Esotericism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비밀승'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탄트라'(Tantra, Tantrism)에 대해서 언급토록 하겠다. 본래 탄트라는 고대 인도의 Veda에서 종교의식상 여러 가지의 비법(秘法)과 화제(火祭) 등을 행하였던 것으로, ..

밀교의 정의와 유사용어 - 6) 결 론 (by 법경)

* 발행일: 2011/12/14 * 수정일: 2025/04/106) 결론이상으로 '밀교'에 해당하는 몇몇 용어들을 살펴보았지만, 어느 것 하나 밀교를 통칭하는 용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밀승'이란 말은 인도범어로 사용되지 않았고 단지 '비밀'에 해당하는 인도 산스크리트어 'Vajra'로 명명하여 쓰고 있을 뿐이며, '진언승'은 초·중기밀교에 나타난 용어이며, '금강승'은 중기에서 후기밀교에 걸쳐 사용된 용어이므로 어느 것이 바로 밀교를 가리키는 대표적 용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탄트라는 후기밀교의 무상유가밀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힌두교적 신앙과 성적 종교로 오해받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구생승·시륜승도 진언승이나 금강승에서 파생된 후기밀교의 일파 정도로 이해..

중관학 강의: 이제설(二諦說)( by 양승규)

발행일: 2011/12/14 수정일: 2025/04/08이제설 (二諦說)양승규/중앙승가대학교 강사 불교에서는 진리를 세속제世俗諦와 승의제勝義諦 둘로 구분한다. 세속제는 세속의 진리이고, 승의제는 궁극적인 진리이다. 세속제는 시간과 공간 속에 있는 진리이고, 승의제는 시간과 공간 밖에 있는 진리이다. 따라서 세속제는 가변적이고 유동적이고, 승의제는 진리 그 자체이다. 이제를 통해 진리를 구분하는 것은 중관학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부파가 각기 다른 이제설을 정의하고 있고, 이 이제설을 근거로 실천과 결과를 증득하는 깨달음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중관귀류논증파의 관점에서 이제설을 설명하고자 한다. 1. 이제설의 성립용수보살은 『중론』에서 불교의 진리관을 “세간의 세속제와 승의제다.”라고 하..

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 (by 주민황)

발행일: 2011/12/14수정일: 2025/04/08지혜와 자비의 이중주, 티베트 불교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계간 『불교평론』겨울호- 차례 -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 ?2. 티베트 불교의 전래3. 티베트 불교의 교리적 특징4. 티베트 불교의 수행법과 그 특징5. 맺는 말1.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티베트 불교는 라마교?티베트 불교는 어떤 불교인가? 요즘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문제이다. 티베트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에서 변질된 불교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르친 불교는 시대에 따라서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 등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그 세 가지 중의 어느 하나라도 불교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대승불교는 부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