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경전 12

보리도등론

菩提道燈論 역자 주: 일명 菩提道炬論임. 68偈頌, 본문 중 괄호 안의 내용은 임의로 보충한 것임> 阿底峽(阿提沙 Atīśa)尊者 造 (예경삼보)敬禮曼殊室利童子菩薩 문수사리동자보살에게 공경히 예를 올립니다.禮敬三世一切佛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及彼正法與僧眾 그의 바른 가르침과 스님들께 공경히 예를 올립니다. (서술연기)應賢弟子菩提光 어진 제자 보리광이 깨달음에 나아가는 횃불을 잘 드러내 勸請善顯覺道燈 보이길 권청함에 응하노라. (상중하의 근기)由下中及上 應知有三士 상중하의 근기의 사람이 있음을 알아야 하나니 當書彼等相 各各之差別 그들 각각의 차별을 기록하리라若以何方便 唯於生死樂 만약 여러 방법으로 오직 세상의 즐거움에서 但求自利益 知爲下士夫 다만 자기의 이익을 구하는 사람은 下士이다. 棄三有樂 遮..

입보리행론 (by 달라이라마)

① 위대한 수행자 샨티데바 입보리행론은 샨티데바(Shantideva, 적천寂天)스님께서 지으셨습니다. 샨티데바는 나가르주나(Nagarjura, 용수龍壽)의 계보를 이은, 인도 중관학파의 위대한 수행자 가운데 한 분이시며, 진정한 성현 가운데 한 분이십니다. 그분의 논서로는 [집학론(대승집보살학론)]과 [입보리행론 Bodhicharyavatara ]이 있습니다. [집학론]은 많은 경을 바탕으로 해서 지으셨지만 그분의 직접적인 가르침도 많이 담겨있습니다. [입보리행론]은 직접 경을 바탕으로 해서 말씀을 하신 것은 아니지만 행으로 말씀하신 것입니다. 티베트에서는 [입보리행론]과 [집학론]을 함께 배웁니다. 함께 배우면 좋습니다. 왜냐면 [집학론]에서 자세하게 말씀하지 않은 부분은 [입보리행론]에서 자세히 말..

현관장엄론(Abhisamayalankara)에 대한 위키백과 사전의 개요

Abhisamayalankar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The Abhisamaya-alaṅkāra ("Ornament of/for Clear Realization[s]"), abbreviated AA, is one of five Sanskrit-languag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which Maitreya--a Buddha or bodhisattva (the point is somewhat controversial)--is said to have revealed to Asaṅga (northwest India, 4th century). Some scholars (Erich Frauw..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Ⅰ. 들어가는 말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해 항상 궁금하게 생각해 왔다.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생명체들은 어떻게 해서 생겨났으며 어떻게 지금까지 생멸을 거듭하며 존속해 오고 있는가. 이러한 궁금한 문제들을 해결키 위해 끊임없이 연구를 해왔는데 그 가운데 최초의 우주론은 절대자에 의한 우주창조론(說)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아직 인간의 지혜가 몽매하던 때에 이 우주에는 절대자인 신이 있어서 우주만물을 창조했다는 신화를 만들어 낸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지혜가 점차 발전함에 따라 보다 더 합리적인 우주 인생의 원리를 탐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동서고금의 종교사상 내지는 철학사상에 의거한..

수능엄경: 욕계6천,색계18천,무색계4천 및 4종류의 아수라에 대하여....

수능엄경 제8권 제9권: 욕계6천,색계18천,무색계4천 및 4종류의 아수라에 대하여.... 아난아, 모든 세상 사람이 영원한 진리[常住]를 구하지도 않고, 아직은 처첩의 은혜와 사랑도 버리지 못했으나, 마음이 삿된 음행에 방탕하게 흐르지 않고 몸이 맑고 밝아서 광채가 나면, 죽은 뒤에 일월과 가까운 곳에 태어나느니라. 이와 같은 한 부류의 곳을 4천왕천(天王天)이라고 한다. 자신의 처방(妻房)에서 음행을 즐기는 정은 엷고 미약하나, 청정하게 머무를 때 청정한 맛이 완전하지 못한 사람은, 죽은 뒤에 일월(日月)의 밝은 세상을 뛰어넘어 인간 세상의 최정상에 태어나느니라. 이와 같은 한 부류의 곳을 도리천(忉利天)이라고 한다. 음욕의 경계를 만나면 잠시 어울렸다가 돌아서면 아무 생각이 없는 성품으로서, 인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