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by Scrap 38

윤회와 탄트라 (by 조환기)

윤회와 탄트라글쓴이 : 조환기(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 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티벳의 링 린포체 왕사(王師)께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환생한 왕사의 사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불교의 토양인 인도에서는 윤회관(輪廻觀)이 모든 사상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다. 윤회는 고통스러운 존재들의 본모습을 여실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부처님도 윤회에 대해서는 종종 말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삶의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표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티벳에서 환생이 등장하게 된 것은 카르마 파(Karma pa)를 통해서이다. 티벳 카르마파의 흑모파의 스승..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 (by 이지수)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글쓴이 : 이지수 (동국대 교수)출 처 : 월간『금강』 2545년 3월호인도의 이해 -「인도의 티벳 망명민 불교(티벳 불교)」앞에서 말했듯이 현대 인도의 불교 부활에 있어서 마하보디 협회와 암베드까르의 신불교운동과 더불어 티벳 망명민들의 불교가 갖는 역할도 적지 않다. A.D 7세기, 송첸감뽀 왕의 불교귀의와 그리고 인도의 샨따락쉬따(寂護)의 인도 방문과 더불어 시작된 티벳의 불교는 오늘날까지 천삼백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중국의 선불교, 남방의 테라와다 불교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불교문화를 형성했다. 경전들이 학승들(티벳인과 인도인)에 의해 다른 시대에 도입됨에 따라 여러 집단들이 서로 독립된 조직으로 자라났고 그 결과 티벳불교는 네 개의 주요 교파로 갈라졌다. 인도의 밀교수행자 빠..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by 이태승)

인도에서 티베트로의 불교 도입 * 글쓴이 : 이태승 (동국대 강사)* 출 처 : 불교신문 연재 "불교사 100장면" 가운데 티베트 불교 부분. 삼예의 종론티베트에 불교가 도입된 것은 8세기말경의 일로, 이는 중국에 불교가 전해진 기원 1세기경과 비교해 보면 대략 7백년 정도 이후의 일이 된다. 그리고 지리적 여건상 티베트는 인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아울러 중국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티베트에서의 불교 도입도 또한 인도와 중국의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이러한 관련이 첨예한 대립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사건이 티베트의 삼예(bSam yas) 사원에서 거행된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와 대론으로 소위 "삼예의 宗論"으로 알려진 御前論爭이다. 티베트의 불교 전래초기에 거행된 이 논쟁을 계기로 티베..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 (by 김 무생)

옴마니반메훔의 참 뜻요즈음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m)'이라는 진언이 방송매체를 타고나서 세인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진언(眞言)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심경을 즉시적으로 표현한 말을 가리킨다. 사람은 다른 어떤 방법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상징이라는 방법을 통하여 그것을 표현한다. 진언은 바로 상징적인 말, 즉 상징어인 것이다. 불교에서는 수행이 깊은 사람의 깨달음을 상징적인 말로써 표현한 많은 진언이 있다. 상징어는 그 속에 많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진언은 깨달음의 심경 등, 팔만사천 경전의 의미를 축약적으로 담고 있다. 그래서 다라니(摠持)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진언을 염송(외움)함으로써 마음의 안정(선정)을 얻게 되고, 진언이 담고 있는 깨달음..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글쓴이 : 양승규 (철학 박사 ; 동국대 강사)출 처 : 월간 『붓다』 10월호 (통권 제 152호)오랫동안 달라이 라마는 겔룩빠(dGe lugs pa)와 티베트 불교를 대표하는 라마이면서 동시에 티베트를 통치하는 최고지도자였다. 출가수행자가 정치와 종교를 함께 책임지는 것은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것일지도 모르지만 이 둘을 함께 수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치는 가장 세속적인 것이고, 종교는 세속을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라를 잃은 현재와 같은 티베트의 상황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쓰는 정치가와 불교수행자로서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충실히 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올바른 방식을 통해 티베트 독..

달라이 라마, 그는 누구인가? (by 김충현)

14대 달라이 라마 "텐진갸쵸" 1989년 노벨 평화상은 티베트의 법왕, 제14대 달라이 라마인 텐진 갸초에게 주어졌다. 그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티베트가 겪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삶과 조국의 실정, 그리고 비폭력과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경건함이라는 커다란 메시지를 자서전 속에 담아내고 있다. 1935년 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티베트 불교의 전통에 따라 아주 어린 나이에 선대 달라이 라마의 화신으로 인정받아 이때부터 특별한 삶을 살게 된다. 티베트가 중국의 침략을 받은 해, 열 다섯의 나이로 그는 통치자로서 전권을 위임받고, 티베트의 주권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1959년 결국 인도로 망명한다. 이후 반세기에 가까운 그의 망명생활은 자유와 평..

링 린포체와 환생 (월간 붓다, by 양승규)

글쓴이 : 양승규 (철학 박사 ; 동국대 강사)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달람살라의 강첸끼숑[큰 눈의 골짜기]이 떠나갈 듯 아침부터 네충(Nechung) 절에서 긴 티벳 나팔이 요란하게 울렸다. 이 나팔소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혀 눈치채지 못한 사이에 네충 법당에는 사람들로 가득찼다. 갑자기 사람들이 우르르 법당 밖으로 몰려갔다. 서투른 티벳말로 물었더니 큰 린포체가 오신다고 했다. 그들이 하는 대로 허리를 90도로 구부려 한참을 땅만 보고 있었다. 구부린 허리가 아파올 쯤 할아버지의 손을 잡고, 티벳 승복을 입은 조그만 아기 스님이 아장아장 걸어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큰 린포체라고 해서 근엄한 모습의 노스님을 연상한 나로서는 충격이었다. 저 꼬마가 도대체 누구길래,..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by 김선정)

밀불교에 나타나는 사리의 이적들, 사리는 무엇이며 왜 생기는가? [출처 : 달마넷 = 김선정교수님의 불교미술 칼럼중에서]김선정홍익대학교 동양학과 졸업인간문화재 14 호 이만봉스님 문하에서 한국탱화달라이라마 전속화가인 스님, 밀교대학 미술학 박사인 스님문하에서 밀교미술 수업현재 으로 들을 키우고 있음 지난 10 월 말에 나의 스승이신 바쿨라 린포체께서 인도에서 입적하셨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린포체는 내 지혜가 허락하는 가치의 척도로는 이 시대 최고의 성인 중에 한분이시고 마지막 생존했던 국제 불교사의 증인이셨다. 그분은 히말라야의 불교왕국 라닥의 왕자로 태어나서 16 나한인 바쿨라 아라한의 환생으로 밝혀져 5 살에 왕실을 떠나 승려가 되었다. 근대에서 현대로 전환하는 역사의 소용돌이를 거치며 비구승의 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