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복에 이르는 길..../학술, 교학 25

아비다르마구사론에 대한 설명

[ 아비다르마 구사론에 대한 설명 ] 바수반두(世親, A.D. 400-480)의 아비다르마구사론은 불교철학 또는 불교의 교상(敎相)과 교학체계를 배우는데 있어서 반드시 이해해야할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논서이다. 이것은 'dharma' 즉 '법'이란 부처님의 가르침 혹은 부처님께서 설하신 진리를 뜻하고, 그것을 담아서 전승(傳承)한 아-가마인 아함을 말한다. 그리고 아-가마에 담긴 'dharma'를 자료로 삼아 그것에 대해서(abhi-) 철학적으로 연구하여 체계화시킨 '대법(對法)'이며 불교사에서 가장 잘 정돈된 교학체계서이다. 후대에 발달된 중관학(中觀學)이나 유식학(唯識學)도 {구사론}을 바탕으로 다르마를 다른 관점과 입장에서 재해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사론}을 무시하고는 중관(中..

아비다르마의 성립

아비다르마의 성립 ‘부처님 가르침’ 수백 년 걸쳐 체계적 해설 아비다르마(abhidharma)란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의미의 다르마(dharma)에, ‘최고의’ 또는 ‘~에 대한’ 이란 의미의 접두어 아비(abhi)가 붙은 용어로서 부처님의 ‘최고의 가르침’ 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 아비다르마란 이름으로 독립된 카테고리의 문헌들을 전하고 있는 학파로 테라와다(Therava-da)와 설일체유부(Sarva-stiva-da)가 있다. 빨리 아비담마(abhidhamma) 문헌들을 전하고 있는 테라와다에 있어서 아비담마는 주로 ‘최고의 가르침’이란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한문 아비달마문헌들을 전하고 있는 설일체유부에 있어서 아비다르마(abhidharma)는 주로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존재의..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능엄경에서 바라본 불교우주관 Ⅰ. 들어가는 말옛날이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 대해 항상 궁금하게 생각해 왔다.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생명체들은 어떻게 해서 생겨났으며 어떻게 지금까지 생멸을 거듭하며 존속해 오고 있는가. 이러한 궁금한 문제들을 해결키 위해 끊임없이 연구를 해왔는데 그 가운데 최초의 우주론은 절대자에 의한 우주창조론(說)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아직 인간의 지혜가 몽매하던 때에 이 우주에는 절대자인 신이 있어서 우주만물을 창조했다는 신화를 만들어 낸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지혜가 점차 발전함에 따라 보다 더 합리적인 우주 인생의 원리를 탐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동서고금의 종교사상 내지는 철학사상에 의거한..

중관학파에 대하여,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중관학파에 대하여 1. 중관학파의 의미 2. 중관학파의 사상적 특징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등의 비판반야공관에 입각한 부정논리 중도실상 연기 무아 무자성 공 등의 사상 3. 중관학파의 분류4. 중관학파(中觀學派)의 형성과 역사5. 중관학파의 학자들 초기 중관학자들중기 중관학자들 후기 중관학자들 중관학파 Madhyamika 에 대하여 > 1. 중관학파의 의미이른바 중관학파[中觀學派 M dhyamika, ∼v dinah]는 중파(中派), 중도파(中道派), 중사(中師), 중도사(中道師)라고도 한다. 龍樹(梵 N g rjuna)의 중론(中論)을 기초로 하여 공관(空觀)을 선양(宣揚)한 학파를 일컫는 말이다. A. 중관학파를 나타내는 범어 - M dhyamaka, M dhyamika의 뜻 중관학파는 산스크리트어(..

한국 불교사 연대표

한국불교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로 들어 가시면 http://compassion.buddhism.org/main2/0300.htm상세히 보실 수 있고요.참고로 한국불교사 연표와 불교가 한국에 처음 전래된 고구려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의 불교역사를 올립니다. 이후 고려,조선, 근대, 현대는 위의 주소로 들어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내용이 너무 많아 모두 올려 드리지 못합니다. * 한국불교사 연표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김해의 유물 파사석탑에대한 허명철님의 글

질문이 좋아 인터넷 검색에서 관련 자료를 찾아 보았습니다.아래는 김해 금강병원 원장님으로 계시는 허명철의학박사님의 글입니다. 좋은 내용인 것같습니다. 오랜 연구로 내용상의 가치가 많은 것같습니다. 국내 사학자들이 최초 불교의 전래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봄직한 내용이라 생각되네요.산야를 무심코 걷다가 깨어진 석물이나 토기들을 대할 때가 있다. 이럴때마다 귀중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주워서 이리저리 관찰하며 나름대로 음미해 보곤 한다. 김해라는 옛 가야의 왕도에는 문화유산들이 많이 산재되어 있으며 도굴꾼이 하도 많다보니 여기저기 버려진 유물조각들이 많아 문화를 아끼는 한 사람으로 당연한 자세이리라 본다. 김해 구산동 구지봉 산자락에는 사적 제 74호인 가야 수로왕비인 허황옥의 무덤이 있다. 이 경내에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