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 32

경북 의성 고운사 수월스님(1817~1893)

김수월(水月永旻, 1817~1893)스님수월 영민 선사(1817~1893)는 수행하는 납자로서의 삶을 충실히 살다간 고운사의 대표적인 선지식이다. 충남 홍성 출신으로 연변에 화엄사를 건립한 수월 음관 스님과는 동시대의 인물이다.의성군에서 태어난 선사는 17세 때 고운사에서 출가해 송암 스님에게 구족계를 받고 혜월 화상의 법을 이었다. 각화사 남암에서 10년간의 면벽 수행 결사를 시작한 이후 전국의 선지식을 찾아다니며 깨달음을 향한 구법 순례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봉암사 결사 이전에 이미 선사를 비롯한 이 땅의 수행자들이 오직 깨달음을 위해 ‘법대로 살자’는 용맹정진의 삶을 추구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선사는 생전에 많은 제자들에게 법을 전했다. 민족대표 33인이었던 백용성 스님도 수월 선사에게 법을..

부처님 몸에서 나왔다는 진신사리 갯수 몇개나 되죠?

불교는 이적이나 기적이나 현실그대로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것들에 일체 집착을 못하게 하는 종교입니다 사리라는 것도 인간의 육체를 갖인자가 수행을 깊이하면서 육바라밀 여섯가지 공덕(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를 성취하고 계정혜 삼학을 훈습 하여서 생겨지는 것인데 부처님께서는 이미 마음을 크게 깨달으신 경지에서 그사리가 부수적으로 생겨지게 되는 스님들의 육바라밀과 계정혜에대한 정신적인 것보다 눈에 보이는 사리에만 집착할것을 우려해서 내가 사파세계 수명을 다한 후에 나를 다비(화장) 하고 나면은 팔곡사두(우리표현으로 8말4되)의 사리가 나오지만 그사리가 갖인 의미보다 그져 눈에 보여지는 물질로서 사리에대한 욕심으로 국가간에 전쟁가지 이를것에 대비하시어 각나라마다 갖어가게될 양을 미리 분배를 해놓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