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56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 게시일: 2003/11/01 수정일: 2004/11/18, 2012/02/13 4부 딴뜨라 가운데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는 하위 딴뜨라로 일컬어지며 이들의 수행의 차제는 유상요가(有相, Yoga with signs)와 무상요가(無相, Yoga without sings)로 나누어져 있다. 유상요가는 고요한 마음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존의 형상, 무드라(수인), 종자음 등 외적인 형상에 대해 명상을 하는 것이며, 무상요가는 본존, 이담 등의 궁극적 실체인 법성(tathata,眞如)에 ..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1/08/04 수정일: 2005/10/22, 2012/02/10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2)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3)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 딴뜨라(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경 제정이 되었..

딴뜨라의 계율(14 근본타죄)

딴뜨라의 계율(14 근본타죄) 글쓴이: O_Sel(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 작성일: 2003/03/30 수정일: 2005/10/22, 2012/01/27 현교의 계율과는 달리 밀교의 계율은 특정한 딴뜨라에 따라 계율의 숫자나 지켜야 할 조항이 다소 다르다. 이러한 밀교의 계율은 싸마야(Samaya, 三昧耶)라 하고 '서약(誓約)'이라 번역 한다. 밀교의 수행에 있어서 계율을 지키는 것은 관정을 수여 받는 것 못지않게 중요 하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관정은 먼저 계를 받고 이를 지킬 것을 맹세 한 사람에게 만 수여 된다. 그러나 사실상 계를 수여할 때 항목 하나하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이 '보살계' 와 '밀교계'가 수여되고 있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차이

바라밀승과 금강승의 차이 글쓴이: O_Sel(Ph. D. in Delhi Univ., http://osel.pe.kr) 작성일: 2001/09/04 수정일: 2011/12/17 광대한 불교경전의 집성은 일반적으로 쑤뜨라(Sutra)와 딴뜨라(Tantra)라는 기본적인 두 형태로 구분되어 진다.[주1] 이 두 부류의 경전 중 특히 수뜨라 경전인 반야경에 의지하며, 보디쌋뜨와(Bodhisattva, 菩薩)의 육바라밀 수행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점차적으로 성취해 나가는 승(乘)을 바라밀승이라 하고, 육바라밀의 수행과 더불어 딴뜨라의 경전에서 가르치는 다양한 방편수행을 기반으로 붓다의 경지를 바라밀승보다 빠른 기간 내에 이루어 나가는 승을 금강승이라 한다. 바라밀승과 금강승의[주2] 교리나 수행체계는 모..

티벳인의 성과 이름 (이름 짓기)

티벳인의 성과 이름 (이름 짓기) 작성자: O_Sel(http://osel.pe.kr) 작성일: 2001/09/16 수정일: 2011/12/17 성과이름 티벳인들은보통2음절로이루어진단어둘을조합하여이름으로사용한다. 두단어의배열에있어서는어느단어이건앞에올수도있고뒤에놓일수도있다. 예로'로상(Blo bZang)'과'다와(Zla Ba)'라는두단어를사용하여이름을지을경우'롭상다와'라는이름을또는'다와롭상' 이라는이름을지을수있다. 그리고티벳인들의이름에는성(姓)과이름이한국에서처럼명확히구분되어있지않다. 이는다부일처제와어머니가아이들을데리고재혼을하는티벳의문화에서기인하지않았나생각된다. 또한한국에서생각하는성(姓)이란개념은티벳의몇몇특정계층을제외하곤존재하지않는듯하다. 조상대대로전가족이특정한이름을이름의앞에나뒤에써서가문이나집안의내력을유지,..

나란다 사원 전승의 인도인 17 대논사(탕카설명)

나란다 사원 전승의 인도인 17 대논사Seventeen great Indian panditas who were associated with Nalanda monastery.작성자: O_Sel(원명, http://osel.pe.kr)작성일: 2011/07/13 * 달라이 라마 존자님은 항상 티벳불교의 가르침들은 인도 나란다 사원의 맥을 잇고 있음을 강조하십니다. 특히 외국인 불자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 시에는 매 번 냠걀사원 본법당 안의 벽에 걸려있는 나란다 사원 전승의 논사들인 17분의 탕카들을 지목하시면서 이에 대한 언급 빼놓지 않으십니다. 본법당 뿐만 아니라 달라이 라마 존자님 접견실 안에도 대논사님들 한 분 한 분의 탕카가 모셔져 있는 것을 보면 티벳불교가 나란다 사원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