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뜨라 3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4부 딴뜨라 (rGyud sDe bZhi, 규데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게시일: 2001/08/04 수정일: 2005/10/22, 2012/02/10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2)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3)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 딴뜨라(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경 제정이 되었..

윤회와 탄트라 (by 조환기)

윤회와 탄트라 글쓴이 : 조환기(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 출 처 : 월간 『붓다』 2002년 3월호 (통권 제 169호) 티벳의 링 린포체 왕사(王師)께서 한국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는 달라이 라마의 스승의 환생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 환생한 왕사의 사상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불교의 토양인 인도에서는 윤회관(輪廻觀)이 모든 사상의 밑바닥에 자리잡고 있다. 윤회는 고통스러운 존재들의 본모습을 여실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부처님도 윤회에 대해서는 종종 말하고 있다. 고통스러운 삶의 윤회에서 해탈하는 것이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표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티벳에서 환생이 등장하게 된 것은 카르마 파(Karma pa)를 통해서이다. 티벳 카르마파의 흑모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