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 라마 6

불교, 리차드 기어를 밥말아 잡숫다.

[출처: 딴지일보] 2011. 7. 1. 금요일 피가넘치는구나 온나라에 흉포한 패악질이 넘쳐나는지라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리차드 기어라는 배우가 최근 조계종을 방문했다오. 이번 한국 방문은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배우로서가 아니라 불자로서의 성격이 강했지. 실제로 리차드 기어는 불교에 귀의하면서 되면서 티벳의 달라이라마와도 수 차례 만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오. 공적, 사적인 자리에서 이때의 경험을 통해 큰 감명을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습디다. 조계종은 리차드 기어의 방문을 통해 한국 불교의 우수성을 누차 강조했다우. 방한 기간 내내 불교 문화, 불교 유적 등을 소개하면서 이 나라에서 불교가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설명했다우. 하지만 간과한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지. 리차드 기어가 불자가..

티베트 문화와 불교 (by 주민황)

티베트 문화와 불교 글쓴이 : 주 민황 출 처 : 월간 『샘이 깊은 물』 12월호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 티베트는 신비의 땅으로 불린다. 주변국가와의 왕래를 거부하는 자연환경에 둘러싸여서 자신의 세계를 가꾸어 온 티베트는 물질문명에 압도되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신선한 바람을 불러올 정신세계를 간직하고 있다. 가난하고 비참한 환경 속에서도 낙천적인 웃음과 친절을 베풀 수 있는 것은 티베트의 정신문화가 지니고 있는 힘이다. 티베트 사람들의 핏줄에는 태어날 때부터 불교가 흐르고 있다고 말한다. 티베트의 문화란 불교문화라고 할 만큼, 티베트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는 불교가 스며들어 있다. 그이들을 여유 있고 자비롭게 만드는 티베트 불교의 성격은 어떤 것일까, 과연 다른 나라의 불교와 다른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 ..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

달라이 라마와 환생(by 양승규) 글쓴이 : 양승규 (철학 박사 ; 동국대 강사) 출 처 : 월간 『붓다』 10월호 (통권 제 152호) 오랫동안 달라이 라마는 겔룩빠(dGe lugs pa)와 티베트 불교를 대표하는 라마이면서 동시에 티베트를 통치하는 최고지도자였다. 출가수행자가 정치와 종교를 함께 책임지는 것은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것일지도 모르지만 이 둘을 함께 수행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정치는 가장 세속적인 것이고, 종교는 세속을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라를 잃은 현재와 같은 티베트의 상황에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애쓰는 정치가와 불교수행자로서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충실히 한다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올바른 방식을 통해 티베..

달라이 라마, 그는 누구인가? (by 김충현)

14대 달라이 라마 "텐진갸쵸" 1989년 노벨 평화상은 티베트의 법왕, 제14대 달라이 라마인 텐진 갸초에게 주어졌다. 그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티베트가 겪고 있는 참담한 상황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폭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삶과 조국의 실정, 그리고 비폭력과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경건함이라는 커다란 메시지를 자서전 속에 담아내고 있다. 1935년 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티베트 불교의 전통에 따라 아주 어린 나이에 선대 달라이 라마의 화신으로 인정받아 이때부터 특별한 삶을 살게 된다. 티베트가 중국의 침략을 받은 해, 열 다섯의 나이로 그는 통치자로서 전권을 위임받고, 티베트의 주권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1959년 결국 인도로 망명한다. 이후 반세기에 가까운 그의 망명생활은 자유와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