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트라의 수행차제 2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규햐사마자 딴뜨라(Guhyasamāja Tantra)의 수행차제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 1. 딴뜨라의 4종 분류 2. 4종 딴뜨라의 수행차제 3. 규햐사마자 딴뜨라의 수행체계 4. 맺음말 1. 딴뜨라의 4종 분류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딴뜨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 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딴뜨라 경전들을 1) 끄리야, 2) 짜리야, 3) 요가, 4) 아눗따라요가로 분류한 '딴뜨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 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A.D. 1290-1364)이 티벳 대장경의 분류에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4부 딴뜨라의 수행차제 글쓴이: O_Sel(원명, Ph.D., in Delhi Univ., http://osel.pe.kr ) 게시일: 2003/11/01 수정일: 2004/11/18, 2012/02/13 4부 딴뜨라 가운데 소작 딴뜨라(所作, Kryatantra), 행 딴뜨라(行, Caryatantra), 요가 딴뜨라(兪伽, Yogatantra)는 하위 딴뜨라로 일컬어지며 이들의 수행의 차제는 유상요가(有相, Yoga with signs)와 무상요가(無相, Yoga without sings)로 나누어져 있다. 유상요가는 고요한 마음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존의 형상, 무드라(수인), 종자음 등 외적인 형상에 대해 명상을 하는 것이며, 무상요가는 본존, 이담 등의 궁극적 실체인 법성(tathata,眞如)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