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의 역사적 전개
인도, 티베트 등 모든 불교권에 걸친 밀교를 포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밀교의 역사적인 분류법이다. 이것은 밀교의 발생국인 인도의 밀교전개를 기본으로 한 것이지만 모든 밀교권에도 적용할 수 있고, 현대에는 가장 표준이 되는 분류법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초기밀교란 인도에서 4세기로부터 6세기에 걸쳐 성립한, 다라니를 중심으로 하고 체계가 잡히지 않은 밀교로서, 일본에서 분류하는 잡밀에 해당한다.
다음 중기밀교란 7세기 경 새롭게 인도에서 성립한 <대일경>·<금강정경>등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밀교로서 당나라 시기의 중국을 통해서 일본에 전해진 것은 이 단계의 밀교이며 순밀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후기밀교란 8세기 인도에서 성립한 탄트리즘의 전개와 함께 성립한 밀교로서칭 탄트라불교라 불리고 있다. 이 단계의 밀교는 지금까지 거의 취급되지 않았던 성적 행법과 생리적 행법을 대담하게 도입하여 때로는 좌도밀교라는 이름하에 심한 혐오감을 느끼게 한다. 이 계통의 밀교는 중국 宋代에 한역되었지만 유교적 윤리관에 지배되어 있는 사대부의 나라에 수용될 리가 없었다. 또한 일본에도 송나라에 갔던 성심(成尋)등에 의해 일부의 한역본이 소개되었으나 끝내 빛을 보지는 못했다.
일본에서는 역사적·질적인 차이를 포함시킨 가치관으로 밀교를 분류할 경우 흔히 순밀(順密)·잡밀(雜密)이라는 분류법을 사용한다.
잡밀은 정식으로 잡부밀교라 부르며 명칭에서 알수 있듯이 어수선하고 정비되지 않은 밀교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最澄·空海가 唐에 들어가기 이전 즉 나라 및 헤이나시대에 행해지고 있던, 충분히 체계화되지 않은 밀교를 말한다. 그것은 순밀과 비교할 때 다음 네가지 점에서 다르다.
우선 첫째는 本尊이 되는 尊格이 순밀처럼 만다라의 중심이 되는 大日如來가 아니고 석가여래·약사여래 등의 전통적인 여래, 혹은 十日面·千手·不空 索 등의 특수한 형태를 가진 觀音인 변화관음 등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나라시대의 밀교를 보면 명확하듯이 諸尊의 다라니를 외는 것이 중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신밀(印相을 겸하는 것), 구밀(진언,다라니를 외우는 것), 의밀(마음으로 명상하는 것)의 三密行 중에서 구밀만이 확립되어 있을 뿐이다.
셋째 이 단계의 밀교에서는 治病, 求兒, 延命등 현세적인 이익이 목적으로 되어 있고, 자기에게 비장되어 있는 불성을 개오하는 소위 성불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다.
넷째 밀교적 세계의 축도라 할 수 있는 만다라가 완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의 특징을 가진 밀교를 잡밀이라 부르는 것이다.
이에 반해 순밀이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홍법대사 공해, 전교대사 최증 등이 확립한 진언, 천태의 양 밀교를 말한다.
우선 첫째 본존이 대일여래라는 새로운 성질을 가진 우주적 佛格으로 되어 있다.
둘째 신구의라는 삼종의 표현 형태(三密)를 총합적으로 구사하는 全身的 행법이 완성되어 있다.
셋째 종래의 현실적 목적과 함께 자신들이 불을 체현하는 즉신성불의 사상이 구극목표로 되어 있다.
넷째 대일여래를 중심에 실은 만다라가 완성되어 큰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상의 두가지 분류법 외에 인도와 티베트에서는 다양한 밀교의 분류법이 시도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티베트의 대학장 푸톤(티베트의 유명한 불교학자)등이 사용한 다음의 4종분류법이다.
① 所作탄트라 ② 行탄트라 ③ 瑜伽탄트라 ④ 無上瑜伽탄트라 이들은 밀교의 경전을 네 가지 계통으로 분류한 것이다.
우선 첫째 소작탄타라는 수법에 사용하는 제단 등의 조영법, 공물의 조달법 등 기초적인 작법을 설한다. 다음 수행탄트라는 특정한 尊格과 만다라의 諸尊에 대한 구체적인 예배법을 설하고 있다. 셋째 유가탄트라는 삼밀행이 완전히 갖추어지고 진언과 印相과 만다라를 사용해서 자기 자신이 성스러운 大日如來와 다름이 없다고 실감하는 것이다. 이들을 앞의 역사적인 분류법에 적용시키면 소작탄트라와 수행탄트라의 일부가 초기밀교에, 수행탄트라의 나머지와 유가탄트라가 중기밀교에 해당한다. 무상유가탄트라는 최고의 탄트라라는 의미로 8세기 이후 인도·티베트에서 크게 유행한 후기밀교를 말한다.
밀교성립의 교리사적 배경: 대승교학을 중심으로 (by 장익) (0) | 2013.02.05 |
---|---|
밀교 불신관(佛身觀)의 형성 (by 장익) (0) | 2013.02.05 |
무상유가부 밀교의 수용신 유가의 형성배경 (by 정성준) (0) | 2013.02.05 |
「요가 딴뜨라와 요기니 딴뜨라의 종합- 쌍뿌따 딴뜨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서평 (by 정성준) (0) | 2012.02.15 |
보살의 서원 (by 달라이 라마) (0) | 2011.12.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