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티벳 신묘장구대다라니 (관세음보살 대비주, 천수다라니, 니라간타 다라니) 한글번역....

O_Sel 2025. 3. 2. 13:24

티벳 천수대비주 번역

 

산스크리트 본, 티벳어 번역본, 한문 번역본 등 다양한 종류의 천수대비주가 존재합니다. 티벳 천수다라니 유튜브 영상을 만들면서 참고한 것은 티벳대장경 나탕본 깐귤에 있는 천수다라니입니다.

 

이 나탕본의 게송을 바탕으로 여러 티벳스님들이 음율에 맞추어 독경을 하거나 가수들이 노래를 만들어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게송의 철자와 발음이 같은 나탕본을 기반으로 했는데도 독경하고 노래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번역은,

독경 음성를 담은 유튜브 영상을 만들기 위해 어느 티벳스님(?)께서 독경하신 나탕본 게송의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버전의 대비주와 비교하면 게송의 발음과 철자에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게송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 있어서, 산스크리트 문자의 본래 발음을 표기하기보다는 유튜브 영상 속의 독송을 따라서 독송하기 편하도록 영상에서 나오는 발음을 기반으로 원발음에 가깝게 표기하였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R1QlKxPjpY

 

 

원 문:

 

 

1) Namo ratnatrayāya.

2) Namaḥ ārya-jñāna-sagara-vairocana-vyūha-rājāya tathāgatāya  arhate samyaksaṃbuddhāya.

3) Nama sarvatathāgatebhyaḥ arhadbhyaḥ samyaksaṃbuddhebhyaḥ.

4) Nama āryāvalokiteśvarāya bodhisattvāya mahāsattvāya mahākāruṇikāya.

5) Tadyathā,

6) Oṃ,

7)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8) Iṭṭe viṭṭe,

9) Cale cale pracale pracale,

10) Kusume kusumavare,

11) Iili mili,

12) Citijvalam apanaya,

13) Svāhā.

 

 

번  역:

1) Namo Ratna Trayāya.

발음: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한역: 예경합니다. 삼보께.

영역: Adoration to the Triple Gem.

 

2) Namaḥ Ārya Jñāna Sāgara Vairocana, Vyūha Rājāya, Tathāgatāya,  Arhate, Samyaksam Buddhāya.

발음: 나마 아리야 쟈나 싸가라 베로짜나, 바유하 라자야, 따타가따야,

아르하떼, 쌈약쌈 붓다야.

한역: 예경합니다. 고귀한 지혜의 바다 비로자나, 장엄왕, 여래, 응공, 정등각께.

영역: Adoration to the ocean of noble wisdom Vairocana,

Vyuharaja, Tathagata, Arhat, and Samyaksam Buddha.

 

3) Nama Sarwa Tathgātebhyaḥ, Arhatebhyah, Samyaksam Buddhebhyaḥ.

발음: 나마 싸르와 따타가떼베, 아르하떼베, 쌈약쌈붓다베.

한역: 예경합니다. 일체 여래들, 아라한들, 정등각들께.

영역: Adoration to all the Tathagatas, the Arhats, the Samyaksambuddhas.

 

4) Nama Arya Avalokiteśvarāya, Bodhisattvāya, Mahasattvāya, Mahakarunikāya.

발음: 나마 아리야 아왈로끼떼슈와라야, 보디싸뜨와야, 마하싸뜨와야, 마하까루니까야.

한역: 예경합니다. 고귀한 관자재존, 보살, 대보살, 대자비존께.

영역: Adoration to the Noble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the Mahasattva, the Great Compassionate One.

 

5) Tadyathā.

발음: 따야타.

한역: 그러므로,

영역: Thus.

 

6) Ōṃ

발음: 옴

한역: 옴

영역: Om

 

7)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발음: 다라 다라. 디리 디리, 두루 두루,

한역: 지키고, 지키고, 지켜주소서,

영역: Sustain, Sustain, Sustain us.

 

8) Iṭṭe vitte,

발음: 잇뜨에 위떼,

한역: 용기 있게 하소서,

영역: May we have the strength,

 

9) Cale Cale, Pracale Pracale,

발음: 짤레 짤레, 쁘라짤레 쁘라짤레,

한역: 전진하고 전진하고, 속히 전진하고 속히 전진하여,

영역: Move forward, move forward, Move forward swiftly,

 

10) Kusume, Kusumavare,

발음: 꾸쑤메, 꾸쑤메와레,

한역: 오 꽃이여!  가장 위대한 꽃인 (결과인),

영역: Oh Blossom! Greatest Blossom! (Fruits),

 

11) Ili Milli,

발음: 일리 밀리,

한역: 일리 밀리,

영역: Ili Milli,

 

12) Citi Jvalam Apanāye.

발음: 찌띠 즈와람 압빠나예.

한역: 타오르는 깨달음으로 이끄소서!

영역: Be led to the blazing understanding.

 

13) Svāhā.

발음: 스와하.

한역: 성취케 하소서.

영역: Let it be accomplished.

 

 

주  석:

1)

산스크리트 ‘Namo’ 나모의 원뜻은 예경하다. 경배하다, 절하다의 뜻이지만 한국 불교에서는 ‘귀의하다’라는 의미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Namo Ratna Trayāya"는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습니다: "삼보에 경배합니다", "삼보에 존경을 표합니다." 또는 "삼보에 귀의합니다."

 

여기서 "세 보배" (Ratna Trayāya)는 가치가 있는 것 가운데 가장 가치가 있는 것 3가지

⓵ 불 (Buddha) - 깨달음을 이룬 존재,

⓶ 법 (Dharma) - 깨달음에 이르는 진리와 가르침,

⓷ 승 (Sangha) - 그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자들의 공동체를 말합니다.

 

‘Trayāya’에서 접미사 '-ya'는 여격으로 ‘~에게’ 또는 ‘~향하여’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예를 들어 'Buddha’'라는 단어와 ‘-ya’가 결합되어 'Buddhāya'가 되면, 그 의미는 "부처님께" 또는 "부처님을 위해"가 됩니다.

 

2)

- Namaḥ: 경배하다, 예배하다.

- Ārya: 존귀한, 거룩한.

- Jñāna: 지혜.

- Sāgara: 대양. 바다

- Vairocana: 빛을 발하는 자, 위대한 태양. 비로자나 붓다.

- Vyūha: 군대, 진형, 또는 배열이라는 의미로, 보통은 특정한 형상이나 체계를 의미.

- Rājāya: 왕. (’-ya’는 '~에게'라는 의미로 왕에게)

- Tathāgatāya: 여래, 그렇게 온 자. (-ya, 여래께)

- Arhate: 아라한, 응공, 마땅히 존경받을 만한 자,

- Samyaksam Buddhāya: 정등각자, 완전한 깨달음, 올바른 깨달음의 붓다.

 

3)

- Sarwa: 일체, 모든

- 산스크리트어에서 접미사 ‘-bhyah‘는 대격(목적격) 형태의 복수 형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에게', '에 대한'의 의미를 가집니다.

문장 "Nama Sarwa Tathāgātebhyaḥ, Arhatebhyaḥ, Samyaksam Buddhebhyaḥ"에서 '-bhyah'는 각각의 명사(Tathāgata, Arhat, Buddha)와 결합하여 이들을 향한 경배의 대상을 나타냅니다. 즉, 이 접미사는 모든 여래들, 아라한들, 정등각자들에게 경배하고 있다는 의미를 강화합니다.

 

4)

- Arya: '고귀한'이라는 의미의 형용사로, 보통 깨달음을 이룬 존재를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 Avalokiteśvarāya: Avalokite(아래를 굽어 살펴보는) + śvarā(신): 관자재존, 아래를 굽어살피시는 분, 관세음보살. ’-ya’는 접미사로, '~에게'라는 의미.

- Bodhisattvāya: Bodhi(깨달음, 각) + sattvā(존재, 유정), 보디사트바, 보살, 깨달음을 위해 노력하는 존재. ’-ya’는 '~에게'라는 의미.

- Mahasattvāya: Maha(대) + sattvā(존재, 유정), 대보살, 마하살, 큰 자비와 깨달음을 가진 존재. ’-ya’는 '~에게'라는 의미.

- Mahakarunikāya: Maha(큰) + karunika(자비로운), 대자비자, 큰 자비를 지닌 존재. ’-ya’는 '~에게'라는 의미.

 

5)

'Tadyathā'는 진언에서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또는 "이러하오니"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주로 어떤 상태나 상황을 설명하거나 예를 들 때 사용되며, Tadyathā라는 단어 다음에는 주로 만트라의 핵심적인 내용이 위치합니다.

 

6)

"Om" (또는 "Aum")은 인도 전통과 여러 종교에서 매우 중요한 음절이며, 주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에서 사용됩니다. "Om"은 우주의 본질을 상징하는 근본 소리입니다. 모든 존재의 근본적 진리를 나타내며, 모든 소리와 진동의 근원으로 간주 됩니다. 신성한 것과 연결되는 소리로, 기도나 진언을 시작할 때 이 음절을 먼저 염송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7)

- Dhara: 지탱하다, 받치다,

-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는 주로 주술이나 만트라에서 특정 소리 또는 리듬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반복적인 주문음성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세 단어 가운데 ‘Dhara’만 산스크리트어의 문법적 규칙을 따르는 유일한 단어이고 나머지는 리듬, 소리, 반복적인 구절을 통해 종교적 또는 시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입니다.

 

8)

- ‘Iṭṭe vitte’도 특정한 뜻을 지니진 않은 주문음성으로 보는 견해가 보편적이지만 위키백과에 “Iṭṭe vitte ( May we have the strength )”라는 영문 해석이 나와있어서 이 해석을 기반으로 해서 한글로 “용기 있게 하소서”라 번역하였습니다.

 

*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Eleven-Faced_Avalokitesvara_Heart_Dharani_Sutra

 

9)

- Cale: 가다. 전진하다

- Pracale: Pra(앞으로, 전방으로) + cale(전진하다)

- Cale는 '움직임'이나 '흐름'을 의미하며, 해탈의 특정한 상태로 속히 나아가고자 하는 발원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10)

- Kusume: Kusuma(꽃) + ‘-e(처격 접미사, 꽃에)

- Kusumavare: Kusuma(꽃) + vare(가장 좋은, 우수한). 최상의 꽃.

여기서 꽃은 청청함을 상징하고, 만개한 꽃은 수행의 성취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결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탄트라 수행에 있어서 궁극적인 성취로 정수리 차크라(사하스라라 차크라)가 열리는 것을 꽃이 피는 것에 비유해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꽃이 상징하는 것은 진정한 자아의 발견, 수행의 결과로 나타난 해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1)

- Ili Milli: 특정한 의미를 갖지 않은 일반적인 주문음성으로 보는 견해가 보편적입니다.

 

12)

- Citi: 지혜, 인식, 이해, 깨달음이라는 의미, 여기서는 특정한 지혜의 상태나 자각을 나타냅니다.

- Jvalam: 불꽃, 화염,

- Apanāye: Apanaya(인도하다)의 변형.

 

13)

- Svāhā: 주로 진언, 만트라의 마지막 부분에 염송되며, 앞서 염송한 내용이 성취되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