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 (by 안성두)
삼예사의 논쟁: 돈점론의 티베트 불교적 전개 안성두 (pratipaksa@hanmail.net) ::: 목 ......차 ::: 들어가는 말 삼예사 논쟁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 삼예사 논쟁의 종교적 철학적 쟁점 티베트불교 내에서의 마하연의 유형론적 이해 맺음말 1. 들어가는 말 불교사상사는 수행도의 기술에 있어 두 개의 상이한 이해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는 사마타(止)라고 불리는 마음의 적정을 위한 수행이고, 다른 하나는 비파사나(觀)라고 불리는 대상의 바른 관찰을 통해 사물의 무상, 고, 무아를 인식하는 수행방법이다. 이 두 개의 방식은 초기불교 이래 심해탈(心解脫)과 혜(慧)해탈로 분리되어 왔다. 양자는 슈미트하우젠의 표현을 빌리면 깨달음에 대한 긍정적이고 신비적인 언명과 부정적이고 분석적인 서..
티벳 불교와 문화..../by Scrap
2011. 12. 14.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