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트라 수행의 특징: 신체 구성요소의 활용
탄트라 수행의 특징 - 신체 구성요소의 활용 - 원명(델리대학 철학박사, http://osel.pe.kr, 2010.11.29) 목차 I. 서언 II. 본존요가(本尊瑜伽) 1. 수트라(Sutra)와 탄트라(Tantra)의 구분 지표(指標) 2. 지혜(智慧)와 방편(方便)의 합일 III. 변화(變化)의 매개체(媒介體) 1. 기맥(氣脈)과 맥륜(脈輪) 2. 기(氣) 1) 기의 융해의 증후(證候) 3. 백색명점(白色明點)과 적색명점(赤色明點) 4. 뚬모(內熱) IV. 결어 I 서언 티벳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두 가지의 길(道)을 설하고 있다. 바라밀승(波羅蜜乘)과 금강승(金剛乘)이 그것이다. 여기서 ‘길(道)’ 이라는 것은 수행자를 불과(佛果)의 상태로 이끄는 내적인 길 또는 영적인 깨달음을 말한다. 두 ..
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2012. 2. 28. 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