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불교와 문화..../by O_Sel
밀교의 수행체계 제3강: 티벳불교의 4종 탄트라와 4대 학파
O_Sel
2023. 5. 14. 21:41
강의 제3차: 2023.05.04
내 용: Ⅱ. 4종 탄트라와 Ⅲ. 티벳불교 4대학파의 주요 수행법
Ⅱ. 4종 탄트라
1. 소작 탄트라(所作, Kriyatantra)
2. 행 탄트라(行, Caryatantra)
3. 요가 탄트라(兪伽, Yogatantra)
4. 무상요가(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
- 티벳 대장경 깐규르의 목록에는 300개 이상의 탄트라 경전 이름들이 나열되어있고, 이 경전들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분류법은 탄트라 경전들을 1) 소작 탄트라(所作), 2) 행 탄트라(行), 3) 요가 탄트라(兪伽), 4) 무상요가 탄트라(無上兪伽)로 분류한 '탄트라의 4종 분류' 이다. 이 분류 방법은 A.D. 14 세기경 제정이 되었으며 티벳의 불교학자 부톤(Bu sTon, A. D. 1290-1364)이 그의 저서에서 '십만탄트라부목록'과 '뗀규르 목록'을 작성하는데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다.
- 이 '탄트라의 4종 분류'는 탄트라 수행자의 근기가 다름을 4가지 차원으로 분류한 다음 그 각각의 근기에서 행할 수 있는 탄트라들이 설명된 경전들을 배치한 것이다. 수행자의 근기는 첫째, 수행자가 욕계 속의 욕망을 탄트라 수행에 얼마나 이용할 수 있는지, 둘째, 공에 대한 심오한 명상과 본존요가(本尊瑜伽)를 수용해낼 수 있는 정신적 능력, 이 두 가지를 배경으로 해서 분류 된다.
1. 소작 탄트라(所作, Kriyatantra)
- 본존요가의 실천보다는 외적인 의례에 중점을 둠
- 공에 대한 심오한 명상 능력은 부족하나 의례(儀禮)등 외적인 행동에 열정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근기를 위해 설법 된 탄트라들이다. 끄리야 탄트라를 행하는 수행자는 불상, 탕카 등을 만들거나 구입해서 신성한 장소에 모신다. 그런 다음 불존(佛尊)이나 본존(本尊)이 그 장소에 실제로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그들에게 공양을 올린다. 그리고 만다라 제작, 목욕의례 등의 외적 행동을 통해 번뇌 등 정신적 고통을 정화시켜 나간다.
2. 행 탄트라(行, Caryatantra)
- 본존요가의 실천과 외적인 의례를 동등하게 중요시함.
- 행 탄트라에서는 제존이나 이담의 형상을 자신 앞에 심상화하는 것과 더불어 수행자 자신을 깨달은자(붓다)의 모습으로 심상화한다. 이러한 수행을 통해 수행자 자신이 제존, 본존과 다르지 않은 동등한 위치에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들을 친구, 형제나 도반처럼 여기게 된다. 위와 더불어 정신적인 장애가 없이 명확한 심상화를 행하기 위하여 이담의 만트라를 읊는다.
3. 요가 탄트라(兪伽, Yogatantra)
- 본존요가의 실천에 중점을 두며 소수의 외적인 의례를 실천
- 요가 탄트라에서는 자신을 본존의 시봉자나 친구, 도반으로 심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깨달은 붓다의 모습으로 심상화한다. 즉, 더 이상 명상의 대상과 주체가 없이 수행자 자신이 본존임을 심상화한다.
4. 무상요가(無上兪伽 Anuttarayogatantra)
- 본존요가의 실천을 위주로 함
- 무상요가 탄트라는 '최상위의 요가'라는 의미로 불과(佛果)를 이루는데 있어서 이보다 더 뛰어난 요가수행이 없음을 말한다. 무상요가 탄트라의 요가행은 외적인 의례를 의지하지 않고 바로 본존요가의 수행에 임한다. 또한, 몸과 마음의 정화와 제어를 위하여 인간의 생리작용, 호흡, 차크라, 나디(氣脈)등의 고도로 체계화된 요가행법을 이용한다.
Ⅲ. 티벳불교 4대학파의 주요 수행법
1. 게룩빠(dGe Lugs Pa)
2. 까규빠(bKa' brGyud Pa)
3. 사꺄빠(Sa sKya Pa)
4. 닝마빠(rNying Ma Pa)
- 티벳 불교는 크게 닝마(rNying Ma, 오래된), 사꺄(Sa sKya, 하얀 땅), 까규(bKa' brGyud, 구전 전승의), 게룩(dGe Lugs, 위대한) 등 4개 종파로 나뉜다.
- 티벳불교의 종파를 나누는 가장 큰 기준은 구파(舊派, nyingma)와 신파(新派, sarma)이다. 닝마(rNy-ing Ma)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구파(舊派) 또는 고파(古派)로 번역되는데, 티벳의 모든 불교 종파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다. 이보다 후에 일어난 사캬, 까규, 게룩 등 모든 티벳의 종파들은 신파(新派)에 속한다.
- 구파와 신파를 나누는 기준은 경전의 번역이다. 티벳에 인도불교가 도입되던 7~8세기에 티벳의 법왕들이 후원하여 이루어진 번역을 구역(舊譯), 10~11세기 지방 귀족 세력이 지원하여 이루어진 번역을 신역(新譯)이라 한다. 특히 수트라(sutra)보다는 주로 탄트라(tantra) 전승의 번역과 전례에 따라 구파와 신파로 구분된다.
1. 게룩빠(dGe Lugs Pa)
- 게룩의 종조 쫑카빠 롭상닥빠(Tshong Kha Pa bLo bZang Grags Pa)는 14세기 동북 티벳 암도의 쫑카 지방에서 태어나서 까르마 까규 및 여러 종파에서 공부했는데, 특히 사캬의 렌다와 쇤누로도(Red mDa' Ba gZhon Nu bLo Gros)를 주 스승으로 삼았다. 이후 까담의 전통을 따라 엄격한 계율의 수행을 강조하면서, 불교 철학을 바탕으로 단계적인 수행을 통해 깨달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아띠샤의 ‘보리도등론’의 주석서인 쫑카빠의 ‘보리도차제광론’을 비롯한 많은 주석서 및 저서들은 그 당시까지의 철학과 수행 전통을 새롭게 해석해 내면서 티벳불교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후로 까담의 전통은 점차로 겔룩의 영향 아래 들어갔다.
2. 까규빠(bKa' brGyud Pa)
- 까규란 '구전의 전통(口傳傳統)'이라는 뜻이다. 11세기 인도의 밀교 요기 띨로빠(Tilopa)를 시조로 삼는다. 띨로빠는 나로빠(Naropa)를 가르쳤다. 티벳인 역경사 마르빠 로짜와(Marpa Lotsawa)는 역경사 독미 로짜와 샤꺄예쉐(Drokmi SAkya Yeshe)에게 가르침을 받은 후 인도의 나란다 사원에서 나로빠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마르빠의 가르침인 마하무드라(mahamudra)는 이후 밀라레빠(Milarepa)를 거쳐 까규로 성립되었다.
- 까규는 명상, 구루 요가, 나로 6법과 같은 금강승 수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까규와 닝마는 모두 실수행을 중시하지만, 까규는 닝마와 달리 명상을 통해 점진적으로 견해를 익히고 체험해나가는 방식을 따른다.
3. 사꺄빠(Sa sKya Pa)
사캬는 까규와 마찬가지로 나로빠의 가르침에 그 기원을 두고 또한 독미 로짜와(Drokmi Lotsawa)라는 같은 스승으로부터 출발했지만, 까규와 다른 특징들이 있다. 사캬는 쾬(Khon) 일족 자체가 종파가 된 독특한 경우이다. 회색 땅을 뜻하는 사캬(Sa skya) 지방의 일족인 쾬 일족의 쾬 꾄촉겔뽀(Khon dkon mtshog rgyal po)를 종조로 하는 사캬 역시 밀교 전통에 근거한다. 사첸 꾄촉겔뽀는 인도에서 요기 나로빠와 밀교승원인 비끄라마쉴라(Vikramasila)에서 공부했다고 하는 독미 로짜와로부터 헤바즈라 탄트라에 근거한 람데(Lam ’Bras) 전통을 배운다. 수행의 길과 그 결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밀교에 바탕을 두고 논하는 람데 전통은 사캬의 핵을 이루는 중심 교리이다.
4. 닝마빠(rNying Ma Pa)
닝마(Nyingma)는 '오래된'이란 뜻으로 말 그대로 티벳 불교 중 가장 먼저 생긴 종파이다. 8세기 티송데쩬 왕은 당시 네팔에 머물고 있던 인도 나란다 사원의 승원장 샨따락쉬따(Santaraksita)를 초청하면서 밀교 성취자인 빠드마삼바와(Padmasambhava)를 대동했다. 빠드마삼바와는 밀교행을 통해 티벳의 토속 종교인 뵌교의 신도뿐만 아니라 티벳의 토속신들을 제압하여 불교에 귀의하도록 이끌었다. 이에 샨따락쉬따는 왕실의 후원 하에 쌈예사(bSam Yas dGon Pa)를 건립하고 티벳의 첫 승단을 만들었다. 닝마는 이때 샨따락쉬따가 대동했던 밀교 성취자 빠드마삼바와와 그의 가르침을 그 중심으로 삼는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