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_Sel
2011. 12. 14. 10:14
밀교의 올바른 이해
|
허일범(진각대학교 교수)
밀교라는 개념의 재정립 밀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이나 일본에 불과하며 그외의 지역에서는 우리가 쓰는 밀교라는 개념과는 다른 용어들을 쓰고 있다. 그것은 밀교를 대승불교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느냐, 아니면 대승불교와는 다른 별개의 사상체계로 간주하느냐에 따라 그차이가 있다. 이 점 각국의 학계에서도 용어에 대한 확실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밀교에 대한 확실한 개념이 확립되지도 않은 현단계에서 밀교라는 용어가 거부감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어만 보아도 내용을 바로 알듯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서양이나 일본의 개설서들이 독자들에게 준 영향이 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재로 서양의 개설서들은 대승불교의 최후기에 발생한 무상요가탄트라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일본의 저작물들은 서기 7,8세기경에 성립된 행탄트라, 요가탄트라를 중심으로 일본내에서 정립한 교리체계를 다루고 있다. 만약 우리들이 분별없이 이와같은 내용을 그대로 받아 들인다면 단편적인 지식만이 우리의 사고체계를 지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타락한 형태의 불교나 일본적인 내용만을 가지고 밀교를 논하게 될 것이다. 또한 밀교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이 국한된 범위내에서 정립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밀교라는 용어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 현시점에서 용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은 늦은감이 있으나 인도, 티베트, 중국, 한국, 일본에서 쓰이고 있는 용어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검토된 후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밀교라는 용어에 걸맞는 개념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밀교에 대한 그릇된 인식도 불식될 것이다.
1) 인도의 예 인도의 후기불교는 오래전부터 서양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으며 지극히 편협된 분야만이 연구되어 왔다. 그들의 관심은 흔히 우리들이 접할 수 있었던 소작, 행, 초기요가탄트라가 아니라 중기이후의 요가탄트라 내지 무상요가탄트라에 쏠렸다. 또한 전체적인 탄트라의 연구는 도외시하고 한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나머지 외설적이며 타락한 불교가 인도의 밀교를 대표하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진리의 상징적인 표현이라는 관점에서가 아니라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사실만을 취급한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일시적으로 이런 내용들이 우리사회에 소개되어 불교계에서 논란의 대상이 된 일이 있으며, 기존의 밀교종단들이 막대한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것은 전적으로 서양학자들의 편협된 연구에 책임이 있다. 만약 그들이 수트라와 탄트라의 접점이라고 할 수 있는 소작, 행탄트라를 연구하고 다음에 요가, 무상요가탄트라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면 인도밀교에 대한 오해는 줄어들었을 것이다.
그들이 사용하는 용어중에서 밀교에 상응하는 표현으로는 비밀불교(esoteric buddhism), 탄트라불교(tantric buddhism) 등이 있는데 이것은 서양학자들의 발상에 의한 것이며 요가탄트라나 무상요가탄트라를 지칭하는 말에 불과하다. 실재로 인도에서는 금강승(金剛乘, vajrayana), 구생승(俱生乘, sahajayana), 시륜승(時輪乘 kalacakrayana)이 라는 용어를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소승, 대승과 더불어 불교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승(乘, yana)을 지칭하는 말로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밀교의 개념과 다르다.
당시 금강승교도들은 오단타푸리, 소마푸리, 비크라마시라, 나란다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그들은 외교도(外敎徒)들과의 대론(對論)을 위하여 대소승의 불교는 물론 베다, 우파니샤드, 육파철학등을 학습하였다. 따라서 인도밀교는 대소승의 불교와는 개념상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인도불교사 중에서 최후기에 나타난 사상체계로 받아 들여야 할 것이다.
2) 티베트의 예 티베트불교는 현재 세계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초기에는 이탈리아, 일본, 독일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들은 티베트불교에서 밀교라는 별개의 사상체계를 연구한 것이 아니라 서양인들은 산스크리트 원전이 남아있지 않은 대소승의 경전들이나 요가, 무상요가탄트라에 관심을 가졌으며, 일본인들의 경우는 대소승의 경전과 소작, 행탄트라에 관한 경전들의 연구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들은 밀교에 상응하는 용어로 탄트라불교, 비밀불교등을 사용하였으며 일본학자들의 경우는 일본밀교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탄트라의 번역에 활용하였다.
그런데 티베트에서 최고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닝마파에서는 대소승의 불교와 더불어 진언금강승(眞言 金剛乘, gsang sngags rdorje theg pa)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닝마파의 개조인 파드마삼바바를 비롯한 샨타락시타, 아티샤들의 영향에 의한 것이다. 그들은 흔히 인도밀교의 학승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재로 티베트에 들어와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 및 탄트라 관계 경전들의 번역사업 및 제자의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이와 같이 티베트불교계는 도입당시부터 대승불교와 진언금강승을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또한 닝마파에서 성립된 구승(九乘)의 교의 체계를 보아도 대승불교와 진언금강승의 학습이 함께 요구되었다. 이와 같은 전통은 현재 티베트의 각 종파에서도 계승되고 있다. 따라서 티베트에서도 밀교라고 하는 독립된 개념이 확립되지 않았고 대소승의 불교와 구분되는 하나의 승(乘)으로 받아 들여졌던 것이다.
3) 중국, 한국의 예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동북아시아 3국은 용어의 구사에서 일치하는 점들이 많다. 특히 불교용어의 경우에는 한역불전의 용어들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소작탄트라를 비롯하여 행, 요가탄트라의 경전들이 한역되었다. 소위 밀교경전 번역에 참가한 사람들은 선무외를 비롯하여 금강지, 불공들이 있다. 그들의 번역경전중에서는 밀교라는 용어가 쓰이기는 했으나, 그것이 대소승의 불교와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단 심오한 가르침이라는 의미에 불과했다. 근래에는 밀교에 해당하는 용어로 밀종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종파를 일컫는 대명사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는 밀교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쓰였는지 확실하지는 않으나 현재 쓰이고 있는 밀교의 개념은 대소승(현교)보다는 우월한 가르침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밀교종단은 서기 7, 8세기 등장한 대일여래를 중심으로하여 교리체계를 확립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쓰이는 밀교란 개념은 소작, 행, 요가, 무상요가탄트라중에서 행과 초기요가탄트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실재로 행이나 초기 요가탄트라는 경전명에 탄트라라는 용어가 거의 쓰이지 않았으며 서양인들의 주요 관심분야인 무상요가탄트라와 내용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4) 일본의 예 일본의 경우는 초기 도입당시부터 철저히 현교보다는 우월하다는 사상적 우월성이 강조되었다. 그것은 당시 도입자들의 의식적인 행위였다. 누구보다도 훌룡한 법을 전래했다는 것을 왕실과 관료들에게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전래한 경전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왕실에 올리고 왕의 신임을 받으려고 하였던 것이다. 또한 자신들이 도입한 교리에 관한 연구를 철저히 행했다. 그 후 일본밀교는 더욱 현교와 분리하려는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기존의 종단들과도 갈등이 일어났다. 현재에는 수많은 밀교종단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항상 현교가 아닌 밀교도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즉 일본밀교는 불교속의 밀교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사상체계를 이루고 있다. 단 그들이 주장하는 교리체계속에는 반야심경이나 대승기신론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일본밀교는 소작, 행, 요가탄트라에 속하는 부분들이 교리체계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